본문 바로가기
월인의 책/학술

한국고전시가의 이념과 지향

by 연인 2022. 4. 21.

 

 

 

저자: 최혜진

정가: 12,000

사양: 신국판(반양장) / 328쪽

출간일: 2003년 12월 1일

ISBN: 89-8477-195-3 93810

 

 

고전시가의 기반을 민요, 무가, 단가를 통해 확인하고 김시습, 송순, 정철의 시가관과 고려가요, 조선후기 한시에 대한 이념성을 살폈다. 또한 향가와 시조, 가사, 허난설헌 한시에서 드러나는 시적 정서의 지향과 전개를 다루었다.

 

차례

무가의 문학적 시원성(始原性) 11

1. 무가의 문학성 11

2. 무가의 문학적 갈래 13

3. 무가의 문학 교육적 가치 59

 

민요의 문학적 특징 61

1. 서론 61

2. 금산지역 민요의 문학적 특징 63

3. 결론 75

 

민요에 나타난 민중의 삶과 정서 77

1. 서론 77

2. 금강유역 민요 개관 80

3. 사설에 나타난 민중들의 삶과 정서 82

4. 민요 전승의 과제 95

 

판소리 단가의 작시 원리 97

1. 단가의 성격 97

2. 단가의 작시 원리 103

3. 단가의 주제와 세계관 123

 

 

2

고전시가의 이념

 

고려가요 문헌전승설 변증(辨證) 127

1. 문제 제기 127

2. 구비전승설과 문헌전승설 128

3. 문헌 기록을 통해 본 전승 양상 133

4. 작품의 편사(編詞) 개작 과정 검증 144

5. 고려시가 전승의 재정립을 위하여 149

 

매월당 김시습의 문학관과 시 정신 151

1. 불우한 시대의 이단아 151

2. 매월당의 방외인적 성격과 문학관 152

3. 매월당 시의 현실 인식 158

4. 매월당 시의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의의 168

 

송순의 시세계와 이념 170

1. 사림파의 성장과 송순 170

2. 송순의 시세계 173

3. 송순 시조의 특성 176

4. 송순 시조의 국문학사적 의의 185

송강 시가의 재조명 187

1. 제기되는 문제점 187

2. <성산별곡><관동별곡> 189

3. <사미인곡><속미인곡> 203

4. 송강의 연시조 218

5. 남은 과제들 228

 

조선후기 한시에 나타난 개혁론의 양상 232

1. 시대적 배경 232

2. 문학관의 변이 233

3. 개혁론의 양상 236

4. 위항문학의 의의 246

 

 

3

고전시가의 지향

 

향가의 시적 정서 251

1. 향가의 문학적 본질 251

2. 향가의 시적 정서 253

3. 향가의 문학성 회복을 위하여 272

 

허난설헌, 욕망의 시학 274

1. 허난설헌 시를 보는 태도 274

2. 욕망의 표출 양상과 자의식 발현 278

3. 허난설헌 글쓰기의 여성 정체성 291

4. 여성 영역의 확장과 회복, 그 슬픈 시선 295

 

시조에 나타난 의 형상 297

1. 시가문학과 ’ 297

2. ‘의 사용 실태 298

3. ‘의 본질 302

4. ‘의 형상 307

5. 맺음말 315

 

가사 장르론의 전개와 지향 316

1. 가사의 장르적 인식 316

2. 장르론의 전개 317

3. 장르론의 새로운 지향 323

4. 맺음말 3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