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인의 책/학술

한국 고전소설 작품연구

by 연인 2022. 4. 21.

 

 

 

저자: 차충환

정가: 24,000

사양: 신국판(양장) / 524쪽

출간일: 2004년 10월 15일

ISBN: 89-8477-233-X 93810

 

 

한국 고전 소설의 각 작품에 대한 연구 논문 모음집. '온달전', '최치원', '남궁선생전', '창선감의록' 등의 고전 작품에 대한 작품론 중 저자가 9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는 동안 학술지에 발표하거나 미처 발표하지 못하고 묵혀두었던 것들을 다듬어 내놓았다.

 

차례

1

 

<온달전>의 설화적 구조

1. 머리말

2. 작품의 기능단위 분석 방법론

3. <온달전>의 기능단위 분석

4. <온달전> 구성의 실제

5. <온달전>의 서사구조와 서술방식

6. 맺음말

 

<崔致遠>의 장르적 성격과 작자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1. 머리말

2. <최치원>의 장르 논의

3. <최치원>의 작자와 창작배경에 대한 논의

4. 맺음말

 

<南宮先生傳>의 서사적 성격

1. 머리말

2. 서술시점과 서사구조

1) 서두 부분

2) 전개 부분

3) 결말 부분

3. 분석 결과의 종합적 검토

4. 맺음말

 

<南宮先生傳>󰡔東野彙輯󰡕 소재 <남궁두 이야기>의 대비 고찰

1. 머리말

2. 작품의 서사 양상

1) 서두 부분의 서사 양상

2) 전개 부분의 서사 양상

3) 결말 부분의 서사 양상

3. 장르적 특성

4. 맺음말

 

<南宮先生傳>의 의미구조와 작가의식

1. 머리말

2. 不與世合과 삶의 인식 문제

3. 주체적 도교문화에 대한 관심

4. 맺음말

 

<雲英傳>의 꿈

1. 머리말

2. 盛事傷懷에의 관심

3. 인간평등과 작가의 꿈

4. 맺음말

2

 

<창선감의록>의 서두 기록과 작가의 문제의식

1. 머리말

2. <창선감의록>의 흐름

3. 작품의 서두 기록 분석

4. 家長資質 문제와 孝行

5. 맺음말

 

<숙향전>의 구조와 세계관

1. 머리말

2. <숙향전> 이본의 개괄적 검토

1) 板本

2) 국문필사본

3) 한문필사본

4) 국문활자본

3. <숙향전>의 구조적 이해

1) <숙향전>의 순차 단락

2) 天定原理의 지상적 실현

3) 수용자의 관심과 인식 지평

4. <숙향전>의 세계관

1) 삶의 순리·원리로서의 숙명론적 세계관

2) 유기체적 초월주의 세계관

5. 맺음말-사적 의의와 관련하여

<숙향전> 이본의 개작 양상과 그 의미

1. 머리말

2. 한문현토본과 박순호본의 개작 양상과 상호관련성

3. 두 이본의 개작 방향과 그 의미

4. 맺음말

 

<泉水石>의 작가의식과 유형적 성격

1. 머리말

2. 진정한 삶과 삶의 태도

1) 현실감의 상실과 삶의 문제

2) 過慾의 분출과 삶의 문제

3) 극단적 삶의 객관적 보여주기

3. <泉水石>의 유형적 성격

4. 맺음말

 

<화문록>의 성격과 장편규방소설에의 접근양상

1. 머리말

2. 성격의 객관화를 통한 애정·윤리의식의 표출

3. 士大夫家 인물들의 자기주장과 웃음의 표출양상

4. 장편규방소설에의 접근양상

5. 맺음말

 

<許生傳>의 인물형상과 작가의식의 표출방식

1. 머리말

2. 두 개의 後識에 담긴 뜻

3. 인물형상의 변화와 작가의식의 표출방식

4. 맺음말

 

<虎叱>의 본질과 상징의 문학적 효과

1. 머리말

2. <호질>의 내용 분석

3. 분석의 결과와 기존 연구의 대비

4. ‘상징의 설득적 효과

5. 맺음말

 

<江上月><芙蓉軒>-<창선감의록><홍백화전>의 개작

1. 머리말

2. <창선감의록><강상월>의 대비

1) 인물과 구성의 상동성

2) 개작본으로서의 <강상월>

3. <홍백화전><부용헌>의 대비

4. 맺음말

 

 

3

 

고소설에서의 초월성의 의미

1. 머리말

2. 각 작품의 초월성의 전개양상

1) <창선감의록>의 초월성의 양상

2) <구운몽>의 초월성의 양상

3) <소현성록>의 초월성의 양상

3. ‘초월성의 의미

4. 맺음말

 

영웅소설의 서사전개와 결구양상

1. 머리말

2. 각 국면의 서사전개와 결구양상

1) 발단상황

2) ‘分離 試鍊의 국면

3) ‘婚事障碍의 국면

4) ‘救援修學의 국면

5) ‘對決力 獲得出戰의 국면

6) ‘武功回復의 국면

7) 종결상황

3. 맺음말

 

고소설과 한문단편의 여성형상

1. 머리말

2. 자기실존의 확립과 사회적 자아실현-여성영웅형 고소설

3. 환경세계의 인식과 주체적 삶의 실현-한문단편

4. 맺음말-두 유형의 대비적 위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