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인의 책/학술

흥부전 연구

by 연인 2022. 4. 21.

 

 

 

저자: 정충권

정가: 12,000

사양: 신국판(반양장) / 358쪽

출간일: 2003년 10월 10일

ISBN: 89-8477-182-1 93810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필자가 관심을 가진 것은 흥부박사설 대목에 국한되었던 데다, 이미 <흥부전>에 대한 종래의 연구 수준이 상당히 높은 데까지 이르러 있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본들을 하나씩 읽어가다 보니 의외로 텍스트의 실상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흥부전> 역시 여러 이본 혹은 각편들로 이루어진 총합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들 이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지 않고는 <흥부전>의 총체적 의미를 끌어낼 수 없으리라 보았다. 따라서 이 책은 <흥부전> 관련 쟁점을 부각시키기보다는 이본들을 통해 <흥부전>의 전반적인 전개 양상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둔 책이다.

 

차례

1<흥부전>의 형성과 전개

<흥부전> 근원설화론

1. 머리말

2. <흥부전>의 근원설화

3. 설화로부터 <흥부전>으로의 질적 전환

4. 맺음말

 

<흥부전>의 형성과 성조신앙<성조가>

1. 머리말

2. <흥부전>의 성조신앙적 바탕

1) 成造에 대한 흥부의 집착

2) 제비의 成造神(家神)면모

3. <흥부전><성조가>의 관련양상

4. <흥부전>의 형성과 성조신앙<성조가>

5. 맺음말

 

<흥부전>의 전승양상

1. 머리말

2. 19세기 중엽 <흥부전>의 양상

3. <흥부전>의 전승양상

1) 전승 우위의 양상

2) 기록 전승 우위의 양상

4. <흥부전>二元的 전승양상의 함의

5. 맺음말

 

경판 <흥부전>과 신재효 <박타령>의 비교

1. 머리말

2. 경판 <흥부전>과 신재효 <박타령>의 비교

1) 인물 형상의 측면

2) 재화 인식의 측면

3) 대립의 양상과 세계관의 측면

3. 경판 <흥부전>과 신재효 <박타령>의 위상

4. 맺음말

 

연경도서관본 <흥보젼> 고찰

1. 머리말

2. 연경도서관본 <흥보젼>의 생성 연대

3. 경판 <흥부전> 및 신재효 <박타령>과의 비교

1) 경판 <흥부전>과의 비교

2) 신재효 <박타령>과의 비교

4. 연경도서관본 <흥보젼>의 특징과 의의

5 맺음말

 

필사본 <흥부전> 고찰

1. 머리말

2. 19세기 후반 <흥보가>의 정착본

3. <흥부전>의 골계적 변이

4. 필사본 <흥부전>들의 위상

5. 맺음말

 

<흥보가> 창본의 비교

1. 머리말

2. 박봉술 창본 <흥보가>와 이선유 창본 <박타령>의 비교

1) 소리대목의 비교

2) 사설의 비교

3. 김창환제 정광수 창본 <흥보가>의 특징

4. 맺음말

 

2<흥부전> 사설의 연구

흥보박사설의 형성과 변모

1. 머리말

2. 문제의 소재

3. 흥보박사설의 형성

4. 흥보박사설의 변모

5. 맺음말

 

놀보박사설의 전승양상

1. 머리말

2. 놀보박사설의 전승양상

1) 형성

2) 변이

3. 놀보박사설의 전승 약화와 <흥보가>의 변모

4. 맺음말

 

재담사설의 특성

1. 머리말

2. <흥보가>의 재담사설들

3. <흥보가> 재담사설의 형식

1) 語戱

2) 엉터리 문답

3) 과장 및 기괴함

4. <흥보가> 재담사설에 나타난 웃음의 성격

5. 맺음말

 

3<흥부전>의 현대적 함의

<흥부전>의 문학교육적 함의

1. 머리말

2. <흥부전> 작품 세계의 허구적 체험과 이를 통한 정신적 성장

1) 사건의 허구적 체험을 통한 내면적 성숙

2) 인물 형상을 통한 상상력비판적 사고력 신장

3. <흥부전> 사설을 통한 표현 능력 신장

4. 맺음말

 

<흥부전>의 생태론적 고찰

1. 머리말

2. 생태적 교감

3. 자연의 역습과 그 기괴성

4. 생태의식과 인간관

5. 맺음말

'월인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가집성(短歌集成)  (0) 2022.04.21
소설의 매혹  (0) 2022.04.21
고소설 연구사  (0) 2022.04.21
한국 대하소설의 미학  (0) 2022.04.21
우리 문학의 여성성, 남성성(고전문학편)  (0) 2022.04.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