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극과인간의 책/학술

한국연극의 미학과 흐름

by 연인 2022. 4. 27.

 

 

 

저자: 신아영

정가: 14,000

사양: 신국판(반양장) / 308쪽

출간일: 2010년 5월 15일

ISBN: 978-89-5786-337-4 93680

 

 

필자가 연극연구를 시작하던 시절, 막 도래하는 새로운 사회를 인식하기 위한 거대담론은 포스트모더니즘이었고 그래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야 했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이 모더니즘의 부정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모더니즘이라는 점에서 모더니즘을 알아야 했고, 이러한 모더니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전통극이 부상하였기에 전통극도 알아야 했다. 더구나 서양이론에 나오는 이러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를 한국연극을 통해서 논의해야 한다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그러나 이제 한국연극에 대한 연구도 한국연극이라는 지역적인 테두리 안에만 머물지 않고, 전 세계문화의 맥락에서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연극의 독자성을 지니면서도 전세계문화의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차례

머리말

 

 

.전통극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 한국 전통극의 연극미학

1. 들어가는 말

2. 생활현장에서의 연행과 이야기형식의 모델

3. 인물의 연대기적 서술과 표현적 인물의 삽화적 구성

4. 함께 울고 웃는 신명풀이

5. 맺음말

 

 

.근대극

 

191020년대의 한국희곡

1. 들어가는 말

2. 여성주의비평과 연극이란 무엇인가

3. 근대희곡에 나타난 여성 형상화의 제양상

4. 근대희곡에 나타난 여성인식과 그 의미

5. 맺음말

 

채만식의 <제향날>에 나타난 서사성

1. 들어가는 말

2. 서사적 화자와 청자를 통한 이야기형식

3. 서사적 구조

4. 이중적인 관점

5. 맺음말

 

유치진의 <>에 나타난 희극성

1. 들어가는 말

2. 축제의 원리에서 현실로의 귀한

3. 비극적 결말에서 희극적 결말로의 개작과 그 의미

4. 맺음말

 

1930년대 후반 유치진의 연극론과 희곡

1. 들어가는 말

2. 연극의 대중성에 대한 관심과 관중본위'

3. <춘향전>에 나타난 희극적 의미구조

4. 비극적 역사인식으로의 전환과 그 의미

5. 맺음말

 

신파극의 대중성

1. 들어가는 말

2. 신파극의 발생과 전개과정

3.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의 구조분석

4. 신파극의 대중성과 여성관객

5. 맺음말

 

 

.현대극

 

이근삼 희곡의 서사성

1. 들어가는 말

2. 새로운 인간형으로서의 서사적 해설자

3. 공간의 확장으로서의 불연속적인 구성

4. 이중적 관점

5. 맺음말

 

이윤택 희곡의 대중성

1. 들어가는 말

2. 전통성의 회복으로서의 대중성-<오구-죽음의 형식>

3. 잃어버린 근대성의 회복으로서의 대중성-<눈물의 여왕>

4. 여성성의 회복으로서의 대중성-<어머니>

5. 맺음말

 

전망부재시대의 다원화된 연극

1. 들어가는 말

2. 놀이성의 강화, <노을을 날아가는 새들>

3. 영상기법의 도입을 통한 한국적 미의식의 탐구, <사로잡힌 영혼>

4. 대중화 겨냥한 가벼운 존재극, <불 좀 꺼주세요>

5. 여성연극, 그리고 <죽음과 소녀>

6. 맺음말

 

90년대 연극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그 가능성과 한계

1. 연극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2. 역사와 지성에 대한 회의, <햄릿머신>

3. 도시의 일상과 전통, <바보각시>

4. 분열된 자아의 내면풍경, <마지막 손짓>

5.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대중사회와 연극

1. 대중사회를 맞이하면서

2. 대중 속에서, 대중과 거리두기

3. 연극의 위기에 관하여

 

 

.방법론

 

소통의 관점에서 본 한국연극 연구의 방법론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연극사와 희곡의 연극성

3. 기존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방법론적 모색

4. 한국연극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전제

5. 남은 과제와 전망

'연극과인간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곡과 공연 양식  (0) 2022.04.27
나와 세계로서의 배우  (0) 2022.04.27
현대 연극문화와 차범석 희곡  (0) 2022.04.27
2010 한국교육연극의 현재  (0) 2022.04.27
방송드라마 창작론  (0) 2022.04.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