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한창훈
정가: 15,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320쪽
출간일: 2008년 5월 10일
ISBN: 978-89-8477-399-8 93810
국어교육에서 다루는 고전문학 텍스트가 현대의 학습자에게 수용되려면, 그것이 가지고 있는 시간의 거리 때문에 여러 절차가 필요하다. 때문에 시가교육에서도 이런 절차에 대한 지식 내지 이해가 주요한 교육 내용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연유로 고전문학 텍스트 그 자체는 교육적 의미를 강하게 가지지 않는다. 현대의 학습자들이 당대의 관습을 확인하고 의미를 공유할 때, 그 교육적 가치가 살아나게 된다. 여기서 생기는 교육적 어려움은 주로 고전 작품과 역사적 이해의 관련 양상에 있다. 결국 시가를 포함한 고전문학 교육의 핵심 문제의 하나는, 텍스트 언어를 해석하고 이해하면서 겪는 과정이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차례
제1부 시가교육의 지형도
고전문학 ‘텍스트’의 정체성과 교육적 가치
1. 도대체, ‘텍스트’란 무엇인가? 13
2. 고전문학 ‘텍스트’의 정체성 16
3. 고전문학 ‘텍스트’의 교육적 가치 20
4. 더 깊은 논의와 합의를 위해서 25
심화선택과목 ‘문학’ 교육의 내재적 가치
1. 서론 28
2. 문학작품에 나타난 언어의 교육적 가치 29
3. 예술 작품으로서의 문학의 교육적 가치 34
4. 문학의 역사적 층위와 교육적 가치 38
5. 결론 41
시가문학 장르의 교육과정 개정 방안
1. 서론 43
2. 국어 교육 과정과 문학 교육 과정의 관계 44
3. 평가를 통해 본 시가문학 장르 교육 과정의 문제 47
4. 시가문학 장르 교육 과정의 개정 방안 59
5. 결론 66
<관동별곡> 해석의 문학교육적 의미망
1. 서론 70
2. <관동별곡> 해석의 통시적 양상 73
3. 7차 교육과정에 있어서 <관동별곡>의 위상 78
4. <관동별곡> 해석의 몇 가지 가능성에 대하여 81
5. <관동별곡> 해석의 문학교육적 의미 85
6. 결론 88
중등학교 문학교육에서 정의적 영역 평가의 문제
1. 서론 91
2. 문학교육에서의 정의적 영역과 정서(情緖) 93
3. ‘체험’과 ‘경험’, 그리고 ‘공감’ 98
4. 문학교육에서의 정서 평가의 기본 원리 102
5. 결론 105
고전문학 감상 교육에 있어서 역사적 상상력의 역할
1. 서론 108
2. 논의의 전제 110
3. ‘풍자’의 의미와 양상 112
4. <愚夫歌> <庸婦歌>에 나타난 인물의 전형성 114
5. 작자의 시대착오적 관점 116
6. <愚夫歌> <庸婦歌>의 풍자 구조와 교육적 관점 123
7. 결론 126
고전시가 교육의 가치론적 접근
1. 서론 129
2. 고전시가 교육의 가치론적 접근 131
3. ‘고전시가’ 교육과 고전시가에 ‘관한’ 교육 137
4. 고전시가를 ‘통한’ 교육 142
5. 결론 147
초창기 한국 시가 연구자의 연구방법론
1. 서론 150
2. 조윤제 초기 시가 연구의 특징 153
3. 조윤제 초기 시가 연구의 성격 157
4. 김태준의 시가와 시조 연구의 특징 162
5. 김태준 시조 연구의 성격 164
6. 결론 168
제2부 시가와 서사문학의 양상과 맥락
사설시조에 나타난 웃음의 몇 양상
1. 서론 173
2. 사설시조에 나타난 웃음의 몇 양상 174
3. 결론 185
16세기 在地士林 江湖時調의 양상과 전개
1. 서론 188
2. 16세기 在地士林의 處士的 삶과 江湖時調 190
3. 결론 203
17세기 鄕班階層 詩歌의 江湖 認識
1. 서론 205
2. 鄕班階層 작가의 사회사적 성격 206
3. 自然에의 도취와 자기 발견 213
4. 玩賞的 대상으로서의 自然 220
5. 현실 고뇌의 보상 공간 227
6. 鄕班意識과 그 문학적 도달점 229
화청(和請)의 문학적 성격에 대한 一考察
1. 서론 233
2. 연구 대상의 범위와 한계 234
3. 화청(和請)의 구조적 특성과 성격 235
4. 화청(和請)의 성립과 歌辭 문학 발생의 문제 240
5. 결론 241
朝鮮 後期 漢詩에 나타난 事實性에 대한 一考察
1. 서론 244
2. 정약용과 이학규의 문학사상 246
3. <田間紀事>와 <己庚紀事>의 사실성 251
4. 결론 262
金正喜의 濟州 流配期 諺簡과 그 文學的 性格
1. 서론 265
2. 金正喜의 濟州 流配 過程과 生活相 266
3. 濟州 流配期 諺簡의 性格 270
4. 결론 278
崔益鉉의 濟州 流配 漢詩 考察
1. 序論 281
2. 濟州 流配의 背景 283
3. ‘道文一致’의 성리학적 문학관 284
4. 나라에 대한 忠念의 吐露 287
5. 濟州 自然에 대한 賞讚 294
6. 結論 298
<창선감의록>의 구성과 성격, 그리고 교육적 가치
1. 접근의 시각 300
2. 갈등 양상의 재론 302
3. 갈등 해소 방식 306
4. 사회사적 성격 309
5. 소설사적 성격 312
6. 문학교육적 가치 314
'월인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0) | 2022.04.20 |
---|---|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6 (0) | 2022.04.20 |
삼국유사와 향가의 이해 (0) | 2022.04.20 |
한국 시가문학의 흐름 (0) | 2022.04.20 |
한국 고전시가의 서정시적 탐구 (0) | 2022.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