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송혁기
정가: 14,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352쪽
출간일: 2006년 11월 15일
ISBN: 89-8477-333-6 93810
2007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이 책의 1부는 바로 산문의 작법과 전범, 미의식, 역대 작가평 등을 두고 이 시기에 제출된 견해들을 그 같고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재배치해본 것이다. 뚜렷한 유파의 형성이라고는 아직 확언하기 어려우나 개인별로, 또 계열별로 상당한 분기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가운데 김창협 계열에서 제출한 작법 및 수사 논의는 그 실제비평에 동원된 비평용어 및 분석방법에 대한 접근과 함께 따로 다룰 필요가 있어서 이 책의 2부로 삼았다. 3부는 같은 문제의식의 연장에서 이루어진 별도의 후속 논문 두 편을 보론 형태로 덧붙인 것이다. 소론계의 독특한 인물 남극관을 통해 이 시기 지성사의 한 단면과 우리 산문사의 드러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시선을 엿보고자 하였고, 20세기 초 김택영과 조긍섭의 견해 차이에서 17세기 말 이래 전개되어온 산문이론의 몇 가지 문제를 되짚어보고 그것이 현 단계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생각해 보았다.
차례
책머리에·3
1부 : 17세기말~18세기초 산문이론의 전개양상
Ⅰ. 서론 11
1. 문제 제기 11
2. 연구범위와 서술구도 18
Ⅱ. 산문이론의 본격화·다양화와 그 사회·문화적 배경 22
1. 지식인 사회 분기의 심화와 학술기반의 확대 22
2. 明·淸 문예서 유입의 증대와 산문이론의 다변화 37
3. 문예적 산문 창작의 성행과 산문비평의 활성화 59
Ⅲ. 산문이론 전개의 양상과 구도 76
1. 古氣再現의 理想과 學古 방법의 이견 76
1) 許穆 계열 근기남인의 尙古 전통 76
2) 古氣의 재현과 簡奧의 미의식 81
3) 전범 설정 및 학습 방법의 논의 93
2. 韓歐正脈의 표방과 修辭·意法 논의 110
1) 韓歐正脈의 의미와 그 수용·전개의 양상 110
2) 修辭 요구의 논리와 平暢의 미의식 120
3) ‘法’ 추구에 대한 비판과 意·法 논란 138
3. 典範·道文 인식의 전변과 새로운 미적 지향 144
1) ‘貴古賤今’의 문학사관 극복과 전범의 상대화 144
2) 道文一致 인식의 전변과 自得識見의 강조 155
3) 奇警·尖新에의 시선과 산문인식의 신경향 176
Ⅳ. 결론 195
2부 : 작법·수사 논의의 심화와 산문비평의 실제
1. 意·氣·法의 작문요결과 法 추구의 의미 203
1) 산문 창작의 요결로서의 意·氣·法 204
2) 法 추구의 의미와 그 산문사적 맥락 213
2. 體裁 구비의 요건과 장르별 창작규범 224
1) 창작준칙으로서의 法과 體裁 구비의 요건 224
2) 장르 인식의 엄정성과 문체별 규범 229
3. 구성의 수사법, 그 개념과 운용 238
1) 字句章篇 작법의 개념과 구성의 수사법 238
2) 중심제재의 선택·배치와 綱領의 부각 243
3) 단락접속·서술방식의 변용과 抑揚·開闔의 수사기법 252
3부 : 보론
夢囈 南克寬의 학문과 산문비평 273
1. 序 : 서책의 숲에 유폐된 젊은 지성 273
2. 학적 관심의 비정형적 확산과 氣化論的 문예관 278
3. 體製의 강조와 명대 문예 수용의 시각 283
4. 작가의 재평가와 발굴로서의 산문비평 289
5. 결 : 未完의 사상과 비평 296
조긍섭의 김택영 諸家文評 비판과 그 비평사적 의의 298
1. 緖言 298
2. 李穡 이래 조선 전기 산문에 대한 평가 300
3. 崔岦의 산문사적 위상과 擬古 논란 308
4. 朴趾源 산문에 대한 평가와 古文의 개념 315
5. 結語 323
참고 문헌 326
찾아보기 345
'월인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3 (0) | 2022.04.20 |
---|---|
옛 문인들의 붓끝에 오르내린 고려시 2 (도남학술연구총서 3) (0) | 2022.04.20 |
열녀설화의 재해석 (0) | 2022.04.20 |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5 (0) | 2022.04.20 |
열하일기의 재발견 (0) | 2022.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