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인의 책/학술

한국 우언의 실상

by 연인 2022. 4. 20.

 

 

 

저자: 윤승준

정가: 15,000

사양: 신국판(반양장) / 352쪽

출간일: 2009년 10월 26일

ISBN: 978-89-8477-447-6 93810

 

 

이 책은 한국 우언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다각도로 조명하는 한편, 중국 우언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한국 우언의 특질을 밝혀보고자 한다. 1부에서는 주요 작가와 작품집, 시기별 또는 갈래별 우언의 실상을 차례로 검토함으로써 한국 우언의 여러 측면을 폭넓게 고찰할 것이다. 먼저 李奎報成俔, 李光庭을 각각 고려시대와 조선전기 및 후기를 대표하는 우언 작가로 선정하고 이들이 남긴 우언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花卉類 寓言動物寓言을 중심으로 우언의 하위 갈래별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서 검토한다. 나아가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과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풍경소리를 중심으로 20세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언의 전통과 계승에 대한 문제를 검토한다. 2부에서는 중국 우언과 한국 우언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한국 우언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고자 한다. 柳宗元의 우언 작품을 중심으로 중국 우언의 수용과 재창조 과정을 검토하고, 돈황 속부 <鷰子賦>와 조선후기 訟事型 寓話小說, 그리고 한중 양국의 동물우언을 통해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해 재조명하며, 한국과 중국의 우언에 보이는 動物象徵 문제도 검토할 것이다. 이처럼 한국 우언이 전개되어 온 역사적 과정과 다채로운 모습을 안팎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 우언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본서의 목적이라고 하겠다.

 

차례

서설

 

1부 한국 우언의 역사적 전개

 

고려시대 우언의 한 양상

. 머리말

. 寓言에 대한 이해와 활용의 실제

. 현실에 대한 풍자와 새로운 이념의 모색

1. 부정적 현실과 세태에 대한 풍자 : 諷刺寓言의 세계

2. 새로운 이념의 모색과 도가사상의 정립 : 哲理寓言의 세계

. 맺음말

 

󰡔浮休子談論󰡕을 통해 본 成俔君臣論

. 序論

. 本論

1. 君主論

2. 臣僚論

. 結論

 

訥隱 李光庭의 우언 창작 방식

. 서론

. 漫錄 󰡔亡羊錄󰡕의 성격과 구성

. 눌은 이광정의 우언 창작 방식

1. 병렬과 유추 - 논리적 설득의 방식

2. 역설과 반전 - 문학적 형상화의 방식

. 결론

 

韓國花卉類 寓言에 대한 一考察

. 머리말

. 화훼류 우언의 창작과 <愛蓮說>

. 한국 화훼류 우언의 두 유형

1. 勸戒寓言

2. 諧詼寓言

. 맺음말

 

動物寓言傳統訟事型 寓話小說

. 문제의 제기

. 動物寓言傳統訟事型 寓話小說의 관련성

1. 寓言訟事 모티프

2. 訟事 처리과정에서의 비리와 그에 따른 부당한 판결

3. 언변 대결에 따른 작품의 확장

4. 動物寓言寓話小說의 독자적 특성

. 寓話小說의 형성과정 재론

. 맺음말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과 우언

. 문제의 제기

. 서사와 논설의 결합

. 서사의 방식 : 問答討論, 寓話, 夢遊

1. 問答討論

2. 寓話

3. 夢遊

. 근대계몽기 우언의 문학사적 위상

 

풍경소리를 통해 본 불교우언의 현대적 소통

. 머리말

. ‘풍경소리의 출범과 게시판의 성격

1. 포교단체로서의 풍경소리

2. ‘풍경소리게시판의 성격

. 불교우언으로서의 풍경소리

1. 자아의 성찰과 일상의 재발견

2. 종교적 메시지의 전달

. 맺음말 - ‘풍경소리를 통해 본 현대 불교우언의 가능성

 

 

2부 중국 우언과의 비교

 

중국 우언의 수용과 재창조

. 머리말

. 중세의 전범 학습과 유종원 문학

1. 文集의 보급과 감상

2. 選集의 간행과 전범 학습

. 우언의 수용과 재창조

1. <種樹郭槖駝傳>金擎鉉<老柏說>

2. <梓人傳>崔忠成<雜說>

3. <三戒>林象德<雜說二首>, 尹愭<雜說三>

. 맺음말 - 유종원 우언 수용과 재창조의 의의

 

敦煌 俗賦 <鷰子賦>朝鮮後期 訟事型 寓話小說

. 문제의 제기

. <연자부>의 내용과 訟事構造

. <연자부>와 조선후기 송사형 우화소설

1. 식량과 거처를 둘러싼 다툼

2. 뇌물과 공훈으로 인한 부당한 판결

3. 주제의 일관성과 작품의 내적 통일성

. 우언 창작의 관습과 송사형 우화소설의 형성과정

. 맺음말

 

韓中 寓言比較 硏究

. 問題提起

. 韓中 動物寓言比較

1. 柳宗元<臨江之麋>奇遵<畜獐說>

2. 宋祁<雁奴>崔演<雁奴說>

3. 󰡔啓顔錄󰡕<刺猬與橡斗>韓國口傳說話 <밤나무에 절하는 호랑이>

4. 󰡔笑府󰡕<蝙蝠>󰡔旬五志󰡕<蝙蝠之役>, 󰡔奇聞󰡕<蝙蝠不參>

. 맺음말 - 比較 硏究限界를 넘어

 

한중 우언의 동물상징

. 머리말

. 자료의 제시

. 동물상징의 실제

1. : 충직한 신하와 간악한 권신, 속물적 인간의 상징

2. : 방자하고 부패한 관료, 지혜와 경륜의 양면성

3. 고양이 : 부패의 척결, 교활한 술수의 이중성

4. 호랑이 : 절대자에 대한 외경과 희화

5. : 불우한 인재의 상징,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

.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월인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지방의 문학전통과 작품세계  (0) 2022.04.20
이야기와 문학적 삶  (0) 2022.04.20
고전시가의 품격 미학  (0) 2022.04.20
조선후기 향촌사회와 시가문학  (0) 2022.04.20
두시강해 1  (0) 2022.04.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