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극과인간의 책/학술

음식 문화와 영화인문학

by 연인 2022. 5. 20.

영화로 읽는 음식 문화와 영화 서사의 동력으로서 음식 문화

 

 

저자: 김남석

사양: 신국판 / 276

정가: 18,000

출간일: 2021910

ISBN: 978-89-5786-785-3 93680

 

 

몇 년 전부터 음식은 단순한 먹거리에서 크게 진화된 존재로 우리의 현실에 나타났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먹어야 하는 동물인 만큼, 인간의 시원과 함께 음식은 존재했겠지만, 그리고 누구나 일생을 통해 음식을 먹어야 하는 만큼, 늘 우리 주변에는 음식과 요리에 대한 관심이 있었겠지만, 최근 한국 사회에서 내보이는 음식에 대한 관심과 집착은 이러한 일반적인 수준이나 범위를 넘어서고 있다.

이에 저자는 무엇 때문에 음식은 생명을 연장하고 생존을 증명하는 식량에서 한 시대와 한 사회의 문화적 감각과 예술적 경지 나아가서는 철학과 사상까지 도달하는 필수적인 존재가 되어야 했는지 알고 싶었고, 음식인문학을 제창하고 그 필요를 탐구하게 되었다. 이 책은 음식인문학의 관점을 영화로 좁혀 영화인문학과 음식 문화의 접점을 찾고자 한 몇 년 동안의 자문과 그 대답이다.

 

차례

01 먹이의 의미

0101 음식과 욕망

0102 먹이와 생존

0103 먹이와 문명

 

02 음식과 문화

0201 문화와 접변

0202 문화와 통합

0203 문화와 위계

 

03 별식의 라면

0301 라면의 출시

0302 라면과 영화

 

04 음식과 취향

0401 술만 마시겠다는 사나이

0402 끝내 독을 먹어야 했던 와 기필코 를 죽여야 했던

 

저자소개

김남석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이후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수학하였다. 199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여자들이 스러지는 자리 - 윤대녕 론>이 당선되어 문학평론가가 되었고, 2003년 조선일보에 <숨어 있는 희망을 기다리는 두 사내>를 발표하면서 연극 평론을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했다. 200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경박한 관객들 - 홍상수 영화를 대하는 관객의 시선들>이 당선되어 영화 평론의 세계로 들어섰다. 2006년부터 국립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영화 평론은 늘 낯설다. 하지만 다른 것은 몰라도 영화 평론이 ‘20자 비평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믿고 있으며, 영화 자체만을 위한 해설이 되어서도 안 된다고 믿고 있다. 영화 관련 저서로 <한국 문예영화 이야기>(2003), <영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2006), <한국 영화의 미학과 경계>(2009), <영화와 사회>(2013), <조선의 영화제작사들>(2015), <빛의 향연>(2017), <해양영화의 이해>(2017), <해양영화의 의미와 미학>(2018) 등이 있다.

'연극과인간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을 보는 창  (0) 2022.05.20
문화예술정책을 보는 창  (0) 2022.05.20
연극으로 사유하는 한국신화  (0) 2022.05.20
<우리 읍내>를 보는 창  (0) 2022.05.20
예술정책, 법대로 하자  (0) 2022.05.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