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극과인간의 책/학술

한국 연극의 정전

by 연인 2022. 4. 28.

 

 

 

저자: 김윤정

정가: 14,000

사양: 신국판(반양장) / 288쪽

출간일: 2012년 7월 30일

ISBN: 978-89-5786-420-3 93680

 

 

이 책은 1970년대에 한국 현대 연극이 전통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였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허규최인훈오태석의 희곡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활용한 전통의 구체적인 양상과 극 속에 형상화된 방식을 밝힘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들이 현재의 연극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세 작가를 주목하는 이유는, 이들이 당대 정전화(正典化)된 민중예술을 연극의 재료로 활용함으로써 우리 연극에서의 전통 활용을 개척한 첫 세대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의 작품은 당대의 연극평론들을 통해 정전으로 형성되면서 이후의 전통 활용에 새로운 생산 조건으로 작용해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의 희곡을 살펴보는 일은 전통 활용 희곡의 과거와 현재를 연속선상에서 고찰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차례

책머리에

 

11970년대 희곡의 전통 활용과 정전의 형성

 

11970년대와 전통

1. 전통이 문제되는 이유

2. 전통의 계승과 창조된 고전

21970년대 희곡의 전통 활용의 배경

1. 민중예술의 정전화(正典化)

2. 탈춤과 굿의 재발견

3장 전통의 활용과 극적 형상화

1. 민족주의 정신과 한국적인 것에 대한 애착: 허규

2. 세계에 대한 비극적 인식과 유토피아 지향성: 최인훈

3. ()사실주의적 형식 실험을 통한 근대 비판: 오태석

41970년대 희곡의 전통 활용의 연극사적 의의

1. 전통 활용의 양상과 의미

2. 가치 생산과 정전의 형성

5장 결론

 

2부 전통극과 현대연극의 정전화

 

1장 김재철의 󰡔朝鮮演劇史󰡕를 통해 본 전통극의 정전화 과정

1. ‘연극연극 아닌 것의 구분의 시작

2. 오리엔탈리즘에 의한 전통연희의 쇠퇴

3. 학문의 대상으로서의 조선적인 것의 부활

4. <조선연극사>에 의한 연극범주의 學問的 정립

5. 결론

21970년대 연극평론가들의 부상과 정전화의 시작

1. 현대연극의 기원으로서의 1970년대

2. 연극비평의 확대와 연극평론가들의 부상

3. 연극비평에 의한 가치생산과 재생산

4. 집단적 정체성의 형성과 서울극평가그룹의 탄생

5. 결론

 

참고문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