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극과인간의 책/학술

조선의 지역 극장

by 연인 2022. 4. 29.

 

 

 

저자: 김남석

정가: 38,000

사양: 신국판 양장 / 624쪽

출간일: 2018년 3월 31일

ISBN: 978-89-5786-636-8 93680

 

 

극장은 유희장이자 오락장이지만, 동시에 교육장이자 강연장이기도 했고, 때로는 집회장이자 시위장이어야 했다. 민중들은 그곳에서 대부분 웃음을 찾지만, 동시에 울음을 찾기도 하고, 어떨 때는 망연자실이나 허탈함 혹은 분노나 한을 구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끝에서 우리는 무엇이고, 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대답을 발견하기도 한다. ‘우리그러니까 조선의 지역 극장은, 그 험한 시기에 이러한 역할을 과연 다 했을까. 나는 어쩌면 그 점이 가장 궁금했는지 모르겠다. 그렇다면 나는 아직 대답을 구하지 못했다고 보아야 한다. 그 대답을 찾기 위해, 다시 길을 떠날 용기를 얻은 것으로 족한 것은 아닐까. _‘머리말에서

 

차례

머리말

 

1. 문제 제기와 연구 필요성

 

2. 선행 연구와 연구 동향

 

3. 지역 극장의 분포와 입지 상의 특징

3.1. 근대극 도입기 지역 극장의 분포 현황

3.1.1. 북선 지역의 대표 극장들과 분포

3.1.2. 서선 지역의 대표 극장들과 분포

3.1.3. 남선 지역의 대표 극장들과 분포

3.2. 지역 극장의 외부 경관과 내부 정경

3.2.1. 동명극장의 외부 풍경과 내부 전경

3.2.2. 표관의 구조와 시설

3.2.3. 통영의 오래된 극장 봉래좌의 전경과 내력

3.2.4. 가무기좌의 내부 전경과 여타 극장과의 비교

3.2.5. 원산관의 내부 정경

3.2.6. 지역 극장의 풍경

3.2.7. 심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한 부산의 극장들

3.3. 시장의 변화와 극장의 대체

3.4. 일본의 도시 구획과 극장의 위치

3.4.1. 도시 설계를 염두에 둔 극장의 위치

3.4.2. 도시 계획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극장들

3.5. 극장의 내력과 극장 소개

3.6. 이전 혹은 신축 사례와 그 이유

3.6.1. 당국과 여론의 위험 경고

3.6.2. 이전 신축 과정과 절차의 문제

3.6.3. 애관의 역사와 소유권 이전에 따른 변모 과정

3.6.4. 극장의 이전과 신축에 대한 정리

3.7. 지역의 대표 극장과 경쟁 극장 체계

 

4. 지역 극장의 설립 유형과 운영자들

4.1. 개인 상인(사업가) 소유 유형

4.1.1. 인천 최초의 극장을 설립한 부산 출신 상인 정치국 : 협률사 창립

4.1.2. 부산의 극장업과 상인들 : 부산의 극장 상황

4.1.3. 지역 상인들의 보조와 주도적 상인의 경영 방식 : 인천 가무기좌

4.1.4. 함흥의 상인들 : 동명극장을 건립한 상인들

4.1.5. 관료 겸 상인 박경석 : 평양제일관

4.2. 주식회사 결성 유형

4.3. 문화계 인사(지식인) 주도 유형

4.4. 공회당 겸용 유형

4.5. 관부 주도 대옥극장유형

4.5.1. ‘대옥극장개념의 제창자 : 재등금장(齋藤金藏) 경부(警部)

4.5.2. 청주청년회의 조선인 김태희(金泰熙)

4.5.3. 극장 명칭의 유래, 앵정무삼랑(櫻井茂三郞)

4.5.4. 이전 신축을 위해 구성된 실행위원들

4.5.5. 일본()과 조선()의 접점으로서의 극장

4.5.6. 공용 극장으로서의 의미

4.6. 지역 극장의 운영자들과 그 방식

4.6.1. 조선인 관객을 염두에 둔 운영자들

4.6.2. 신임 사주 등장과 변화하는 운영 방식 : 원산관의 변모 과정

 

5. 지역 극장의 경영 방식과 그 특징

5.1. 창립 공연의 내용과 성향

5.1.1. 평양제일관의 간략한 개관식

5.1.2. 해락관의 기념식 광경

5.1.3. 원산관의 극단 초청과 각종 대회 유치의 개관 행사

5.2. 외부 협력 단체와의 공조

5.2.1. 표관과 조천연예부

5.2.2. ‘가무기좌-단성사 순회부() ‘표관신전연예부

5.2.3. 가무기좌와 토월회의 협력 관계

5.3. 직영 극단의 창설과 운영

5.3.1. 금천대좌의 직영 극단 노동좌(국민좌)

5.3.2. 노동좌(국민좌)의 연극사적 의의

5.4. 지역 극장의 변사와 활동

5.5. 지역 주민과의 친화 경영

5.5.1. 공공성 확대 경영 방침 : 애관

5.5.2. 종족 차별의 무화 정책과 조선인의 취향 고려 : 표관

 

6. 지역 극장의 용도와 그 활용

6.1. 문화예술의 공간

6.1.1. 연극 공연장

6.1.2. 영화 상영관(상설영화관)

6.1.3. 음악 연주장

6.1.4. 무용 발표장

6.1.5. 야담 대회장

6.1.6. 체육 경기장

6.2. 시민과 여론의 공간

6.2.1. 시민대회(부민대회) 개최

6.2.2. 토의/토론의 공간

6.2.3. 강연회장으로의 활용

6.2.4. 청년회 모임의 본산

6.3. 준공공기관의 역할

6.3.1. 위생 안전 교육

6.3.2. 각종 계몽 활동

6.3.3. 모임 대용 공간

6.4. 자생 문화 창달의 기반

6.4.1. 지역의 소인극단의 생성과 활동

6.4.2. 지역 사회 단체들과의 연합

 

7. 지역 극장의 공간적 위상

7.1. 종족 간 경계와 길항의 공간

7.2. 다목적 공간으로서의 지역 극장과 지역민의 심정적 거리

7.3. 멀고 낯선 체험에 대한 접촉과 동경의 욕구

7.4. 인간 의식의 거주지이자 시간에 저항하는 본거지

7.5. 지역 극장의 의미와 공간의 층위

 

8. 지역 극장의 의의와 한계

8.1. 종족적인 것과 비종족적인 것 사이의 경계와 그 전이

8.2. 조선 문화의 보호와 육성을 위한 교두보 확보

8.3. 식민지 조선 사회와 극적 갈등의 상동성 제고

 

9. 조선 민중에게 지역 극장의 의미

 

참고문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