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인의 책/학술

수산 김우진 연구

by 연인 2022. 5. 17.

 

 

 

저자: 이은경

정가: 10,000

사양: 신국판(반양장) / 240쪽

출간일: 2004년 7월 31일

ISBN: 89-8477-238-0 93680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1920년대의 극작가 수산 김우진(1897~ 1926)에 대한 연구서. 이 책은 1920년대 문학사와 연극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김우진과 김우진의 문학을 총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당대의 지성을 압도하는 어학실력과 외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 소설, 희곡, 평론, 등 문학전반에 걸쳐 탁월한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직접 극단 활동을 하였던 김우진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중요한 동인을 고찰하였으며, 작품을 검토함으로써 인생관, 사회관, 문학관, 연극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선구적 태도와 극작가로서의 역량,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희곡의 성향을 사실주의, 표현주의와의 관련 하에 규명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주체의식을 도출하였으며, 형식적 특성을 보편적인 희곡분석이론으로 받아들여지는 개방 · 폐쇄형식의 희곡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러한 연구를 전제로 당대의 극작가인 박승희, 김정진, 김영팔의 희곡과 비교해 극작가로서의 위상도 제시하였다.

 

차례

. 서론 11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11

2. 기존 연구의 검토 13

 

. 전기적 고찰 17

1. 생애 고찰 17

2. 다른 작가와의 영향관계 27

1) 스트린드베리의 영향 27

2) 버나드 쇼의 영향 36

3) 조명희와의 관계 43

(1) 유사한 생애 43

(2) 유사한 사상적 배경 48

(3) <이영녀><김영일의 사> 비교분석 53

 

. 현실을 반영한 사상의 정립 58

1. 인생과 사회에 대한 인식 58

2. 문학과 연극에 대한 인식 62

1) 문학관 62

2) 연극관 71

. 표현주의 사상과 개방형식의 추구 77

1. 희곡 성향의 변모양상 77

1) 여성문제의 사실적 묘사-사실주의적 경향 77

(1) 가정해체와 남성횡포에 의한 여성의 비극-<이영녀> 77

2) 개혁의지의 적극적 표출-표현주의적 경향 86

(1) 극단적 이기심을 토로한 지식인에 대한 환멸

-<두더기 시인의 환멸> 87

(2) 친일세력과 민족세력, 신구세대의 갈등-<정오> 95

(3) 모성회복으로 인한 새로운 인간의 탄생-<난파> 100

(4) 구원상실과 목적의식의 혼란으로 현실도피한

지식인의 비애-<산돼지> 119

2.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식 129

1) 비판적 현실인식 129

(1) 가정해체로 인한 참상 129

(2) 인습에 대한 거부 132

(3) 남성횡포에 의한 여성의 비극 134

2) 유토피아로의 지향 137

(1) 새로운 사회의 전망 제시 137

(2) 새로운 인간의 탄생 암시 141

3) 이중적 여성상의 제시 142

(1) 구원의 여성 142

(2) 환멸의 여성 145

3. 희곡의 형태 고찰 149

1) 폐쇄희곡과 개방희곡의 이론적 접근 149

(1) 폐쇄형식의 희곡이론 149

(2) 개방형식의 희곡이론 159

2) 작품에 나타난 형태적 특성 167

(1) 사건진행 167

(2) 시간 171

(3) 공간 173

(4) 인물 176

(5) 구성 178

(6) 언어 179

3) 박승희·김정진·김영팔 희곡과의 형태 비교 186

(1) 박승희의 신파극-<이 대감 망할 대감> <고향> 187

(2) 김정진의 희극-<15분간> 198

(3) 김영팔의 프로희곡-<불이야> 206

 

. 결론 213

 

포석 조명희 희곡연구

 

1. 서론 219

2. 생애 220

3. 표현주의의 국내 수용 223

4. 현실극복을 통한 유토피아의 지향 226

1) <김영일의 사> 226

2) <파사> 231

5. 맺음말 236

'월인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현대희곡론  (0) 2022.05.17
한국 가면극 연구  (0) 2022.05.17
사회와 인간 반영의 무대  (0) 2022.05.17
연극의 현실과 비평의식  (0) 2022.05.17
일본의 지역문화 경영  (0) 2022.05.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