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인의 책/교양102

연극보기와 희곡읽기 저자: 이석만 정가: 10,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360쪽 출간일: 1999년 3월 2일 ISBN: 89-88297-14-8 93810 연극이란 무엇인가, 연극의 요소, 희곡의 요소, 연극의 기본적인 유형 및 사조 등 기본적인 연극에 대한 개념들을 정리했다. 희곡작품 중 희곡의 이론도 설명하면서 주체의식 및 문제의식도 있는 작품들, 소포클레스의 , 세익스피어의 , 입센의 에 대한 설명을 첨부하였다 차례 001. 연극이란 무엇인가 002. 연극의 요소 003. 희곡의 요소 004. 연극의 유형 005. 연극의 사조 006. 희곡의 이해와 감상 2022. 5. 13.
종가의 제례와 음식-11(이원조) 저자: 국립문화재연구소 정가: 13,000원 사양: 신국판변형(반양장) / 108쪽 출간일: 2006년 12월 28일 ISBN: 978-89-8477-347-9 04900 이 책은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의 소중한 종가문화를 고집스럽게 지켜 가고 있는 명문 종가의 ‘전통제례와 음식문화’를 사실 그대로 조사·기록하여 전통문화의 생생한 전승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우리가 ‘종가의 생활문화’에 주목하는 것은 종가가 우리 문화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유교문화의 전승주체이기 때문이다. 『종가의 제례와 음식』 11권 「성산이씨 응와 이원조 종가」 편에서는 불천위 제사, 묘제, 차례의 제례 봉행과정 전반과 제사음식의 종류와 조리과정 등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수록하여 종가 제례문화의 현장을 생생히 볼 수 있도록.. 2022. 5. 12.
종가의 제례와 음식-10(김계행/박광전) 저자: 국립문화재연구소 정가: 13,000원 사양: 신국판변형(반양장) / 208쪽 출간일: 2006년 12월 28일 ISBN: 978-89-8477-346-2 04900 이 책은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의 소중한 종가문화를 고집스럽게 지켜 가고 있는 명문 종가의 ‘전통제례와 음식문화’를 사실 그대로 조사·기록하여 전통문화의 생생한 전승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우리가 ‘종가의 생활문화’에 주목하는 것은 종가가 우리 문화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유교문화의 전승주체이기 때문이다. 『종가의 제례와 음식』 10권 「안동김씨 보백당 김계행 종가·진원박씨 죽천 박광전 종가」 편에서는 불천위 제사와 묘제의 제례 봉행과정 전반과 제사음식의 종류와 조리과정 등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수록하여 종가 제례문화의 현장을.. 2022. 5. 11.
종가의 제례와 음식-9(정여창/권시) 저자: 국립문화재연구소 정가: 13,000원 사양: 신국판변형(반양장) / 228쪽 출간일: 2006년 12월 28일 ISBN: 978-89-8477-345-5 04900 이 책은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의 소중한 종가문화를 고집스럽게 지켜 가고 있는 명문 종가의 ‘전통제례와 음식문화’를 사실 그대로 조사·기록하여 전통문화의 생생한 전승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우리가 ‘종가의 생활문화’에 주목하는 것은 종가가 우리 문화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유교문화의 전승주체이기 때문이다. 『종가의 제례와 음식』 9권 「하동정씨 일두 정여창 종가·안동권씨 탄옹 권시 종가」 편에서는 불천위 제사와 묘제의 제례 봉행과정 전반과 제사음식의 종류와 조리과정 등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수록하여 종가 제례문화의 현장을 생생.. 2022. 5. 11.
종가의 제례와 음식-8(권벌/유성룡) 저자: 국립문화재연구소 정가: 14,000원 사양: 신국판 변형(반양장) / 288쪽 출간일: 2005년 12월 28일 ISBN: 89-8477-299-2 04900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의 소중한 종가문화를 고집스럽게 지켜 가고 있는 명문 종가의 '전통제례와 음식문화'를 사실 그대로 조사·기록한『종가의 제례와 음식』시리즈의 제8권. 8권「충재 권벌 종가ㆍ서애 류성룡 종가」편에서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위대한 학자였던 충재 권벌과, 임진왜란의 국난을 극복한 경세가이자 청렴한 공직자의 위상을 보여준 서애 류성룡 종가의 제례와 음식을 살펴본다. 불천위 제사와 차례의 제례 봉행과정 전반과 제사음식의 종류와 조리과정 등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수록하여, 종가 제례문화의 현장을 생생히 엿볼 수 있다. 차례 종가의 .. 2022. 5. 11.
종가의 제례와 음식-7(이황) 저자: 국립문화재연구소 정가: 14,000원 사양: 신국판 변형(반양장) / 164쪽 출간일: 2005년 12월 28일 ISBN: 89-8477-298-4 04900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의 소중한 종가문화를 고집스럽게 지켜 가고 있는 명문 종가의 '전통제례와 음식문화'를 사실 그대로 조사·기록한 『종가의 제례와 음식』 시리즈의 제7권. 7권 「퇴계 이황 종가」편에서는 성리학자인 동시에 교육자였던 퇴계 이황의 성품이 그대로 담겨 있는 제례와 음식을 살펴본다. 불천위 제사와 차례의 제례 봉행과정 전반과 제사음식의 종류와 조리과정 등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수록하여, 종가 제례문화의 현장을 생생히 엿볼 수 있다. 차례 종가의 제례와 음식 시리즈를 발간하며 [제1장] 퇴계 이황 종가의 내력 1. 퇴계 이황 2... 2022. 5. 11.
영상의 역사 저자: 이상면 정가: 13,000원 사양: 크라운판 / 무선 / 140쪽 출간일: 2020년 12월 30일 ISBN: 978-89-8477-701-9 이 책은 11세기 그림자극부터 영화의 출현(1895)에 이르기까지 영상(동영상)의 오랜 역사를 서술한다. 영화 이전에 있었던 영상의 발전을 설명하며 19세기 말 필름영화를 보게 되기까지 과정이다. 이런 내용은 영어 제목 ‘history of moving image’가 한국어 제목보다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다. 또한 영화 이전의 과정이란 점에서 ‘영화의 전사前史’(pre-cinema history)라고도 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는 여러 디지털영상매체들이 출현한 시대에 수많은 영상물(동영상)을 매일 보고 즐기며 살고 있지만, 실상 ‘움직이는 이미지’가 언제부터.. 2022. 5. 10.
소서 저자: 황석공 지음, 문이원 편역 정가: 17,000원 사양: 153*215 / 무선 / 284쪽 출간일: 2020년 9월 7일 ISBN: 978-89-8477-695-1 『소서』는 치국 사상, 민간의 지혜, 천하를 얻고 다스리는 법이 망라되고 역사적 경험이 총결된 책이다. 다른 말로 『영경(鈴經)』 또는 『옥령경(玉鈴經)』이라고도 불리며 격언 형식의 어록체로 되어 있다. 간략한 글귀 속에 매우 함축적인 의미를 담은 『소서』는 오늘날을 사는 현대인이 지혜의 경전으로 삼기에도 부족함이 없다. 『소서』는 총 1,336자이며 총 여섯 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인 원시(原始)는 본문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으로 도, 덕, 인, 의, 예의 개념을 소개하면서 책 전체의 좌표를 그려준다. 두 번째 장인 정도.. 2022. 5. 10.
삼자경 저자: 문이원 정가: 16,000원 사양: 신국판 / 무선 / 256쪽 출간일: 2020년 6월 25일 ISBN: 978-89-8477-682-1 『삼자경』은 쉽게 풀이하면 세 글자로 이루어진 경서란 뜻이다. 내용 역시 사람으로서 걸어야 할 길, 사람이 지켜야할 선과 도리에 대해 말하고 있다. 『삼자경』에 출현하는 한자는 총 1140자로, 380구가 다 세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삼자경』의 전문은 대부분 앞의 한 구절과 다음 구절이 합쳐져 여섯 글자가 하나의 의미를 전달한다. 이 두 구절은 다음의 두 구절과 대를 이루어 열두 글자로 완결된 스토리를 형성한다. 『삼자경』을 구성하는 1140자 가운데서 중복되는 한자를 제외하면 모두 541자이다. 단 541개의 글자를 이용하여 세 글자씩 묶어서 본문을 단출.. 2022.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