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69

전통연희 남사당패 어름줄타기 연구 저자: 이호승 정가: 16,000원 사양: 신국판 / 무선제본 / 304쪽 출간일: 2019년 9월 10일 ISBN: 978-89-8477-675-3 93380 사당패 어름줄타기는 전통사회에서 서민들을 상대로 공연된 전통연희로서 당시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민중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에는 새로운 예술 창조의 바탕이 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어름줄타기의 가치는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의 인정을 받았고 2009년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어름줄타기가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줄타기에 대한 국내외적 이해가 증진되고, 무형유산의 보존과 전승을 위한 국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주지하다시피 한국 줄타기는 다른 나라의 줄타기와 다르게 연희 장면에 적합한 가요와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2022. 5. 12.
한국의 전통문화유산 저자: 이창식 정가: 15,000원 사양: 신국판 / 328쪽 출간일: 2018년 8월 31일 ISBN: 978-89-8477-659-3 03380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사회화, 세계화는 전통이 어떠한 배경에 의해서 형성 변화되었으며, 세계의 다양성 속에서 한국 전통문화가 지니는 독자적인 성격이 무엇인지 이야기하는 실천담론에서부터 시작된다. 또한 한국 전통문화와 외래문화 사이의 갈등과 비판적 수용, 형성된 전통문화를 어떻게 창조적으로 계승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대응을 동시대 가치로 함께 풀어내야 한다. 뒤집어 말하면 전통문화의 창조적 교육 역시 한국인의 생활화, 대중화, 세방화(世方化)에서 출발한다. - 책머리에 차례 책머리에 1장 전통, 전통문화: 창조와 문화유산 2장 전통생활문화: 가족, 공동체 .. 2022. 5. 12.
탈춤 클리닉 저자: 최창주 정가: 45,000원 사양: 4*6배판(양장) / 784쪽 출간일: 2015년 5월 22일 ISBN: 978-89-8477-596-1 93380 탈춤은 조선연극사로서 즉흥이 아닌 정확한 대본을 바탕으로 하는 목적극(目的劇)이자 연희극(演戱劇)이라고 할 수 있다. 1960-70년대 탈춤이 그나마 성행되었으나 해외유학파들에 의해 각 대학가에 교수로 장악하다보니 우리 전통문화를 홀대가 아닌 천시(賤視)되어가는 것을 보이지 않게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한때 대학가에서 탈춤하면 축제에 없어서는 안 될 분야였으나 데모, 사물놀이하면 노사분규 때문에 한국의 대표적인 춤(舞踊)과 음악․연극이 대학가를 떠나야 했다. 그러나 필자는 각 사회단체(YMCA, YWCA, LCY, 걸, 보이스카웃, 흥사단, 청소년.. 2022. 5. 12.
진주의 역사 인물 저자: 진주교대 경남권문화연구소 정가: 20,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380쪽 출간일: 2015년 3월 31일 ISBN: 978-89-8477-592-3 93810 조선 시대 중기에 이런 말이 있었다고 합니다. ‘조선 인재의 절반은 영남에 있고, 영남 인재의 절반은 진주에 있다(朝鮮人才半在嶺南, 嶺南人才半在晉州).’ 이 말이 조금은 과장된 얘기인 것은 사실이겠지만, 조선 중기까지만 해도 진주가 나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적잖이 배출한 고장이었던 사실은 결코 부인될 수 없을 것입니다. 최근의 한 연구에 의하면, 조선 시대에 있어서의 영남 문화의 중심지는 선산에서 진주로, 다시 진주에서 안동으로 넘어갔다고 합니다. 이 견해는 한때 영남 문화의 중심지였다는 조선 시대의 진주가 사람을 만들고 키우.. 2022. 5. 12.
한국 별신제와 공연문화 저자: 한국공연문화학회 정가: 33,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616쪽 출간일: 2015년 2월 13일 ISBN: 978-89-8477-585-5 93380 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별신제는 공동체 전통연희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 영역으로, 전국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문화유산입니다. 별신굿의 공연성, 축제성, 놀이성은 공동체의 신화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값진 특성입니다. 별신제에 참여하는 전승주체는 다채롭습니다. 그들의 기능과 기량은 복합적입니다. 종목마다 역사적 계보와 지역적 문맥으로 말미암아 매력적인 개성을 연출합니다. 아쉽게도 일실한 종목과 연행 요소가 있어 안타까운 부문도 있습니다. 발굴과 재현이 필요한 문헌과 기억 속의 별신제 유산도 많습니다. 총체적 별신제민속지 작업도 .. 2022. 5. 12.
한국 차 문화 전승의 기능과 패러다임 저자: 정서경 정가: 18,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324쪽 출간일: 2014년 3월 7일 ISBN: 978-89-8477-561-9 93380 차 문화가 일반적인 생활양식으로 정착되고 확산되어 가기를 기대하면서 지속적인 차의 기능으로 전승되어 온 한국 차 문화의 전승적 맥락을 고전과 민속자료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고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고대부터 현대로 이어지는 한국 차 문화 기능의 총체적 전승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는 한국 차 문화의 전승을 식자들에 의해 남겨진 차시를 포함한 고전과 구술 자료를 포함한 민속자료를 통해서 차 문화의 기능별 전승을 체계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필자가 이 글에서 살펴본 한국의 차 문화 기능의 전승은 각종 사료와 방법론의 모.. 2022. 5. 12.
전통연희 곡예 종목과 줄타기 연구 저자: 이호승 정가: 16,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300쪽 출간일: 2011년 9월 28일 ISBN: 978-89-8477-498-8 93380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전통연희(傳統演戱)는 전통 사회에서 전문적 연희자가 흥행을 목적으로 공연하던 연희 종목들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이 책에서는 그동안 한국 전통연희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전통연희 곡예(曲藝) 종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국제적 비교 연구와 유사 연희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전통연희의 다양한 종목 중 곡예는 신체나 도구를 활용하여 고난도의 재주를 보여 주는 공연예술이다. 곡예 종목에는 물구나무서기 등을 보여주는 땅재주와 솟대 위에서 여러 가지 재주를 부리는 솟대타기, 줄을 공중에 걸어놓고 줄.. 2022. 5. 12.
진주의 누정 문화 저자: 박기용 정가: 17,000원 사양: 4*6배판(반양장) / 384쪽 출간일: 2010년 1월 20일 ISBN: 978-89-8477-460-5 93810 누정(樓亭)이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말한다. 누정에서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사람들이 생활하고 생각한 사상과 정서를 축적하여 철학적, 역사적, 문학적, 예술적 내용으로 표현한 것을 묶어서 누정 문화라고 한다. 이 책은 산을 좋아하고 물을 사랑하여 그 속에서 억압된 마음을 풀어내고, 오히려 자연 속에 녹아들어 자연과 하나 되는 삶을 산 선조들이야 말로 진정한 신선의 도를 터득한 분들이 아닐까? 작은 돌멩이 하나라도 함부로 대하지 않은 아름다운 심성을 가진 선조들을 보면서 이 누정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길이 잘 가꾸어나갈 사람이 많이 생겼으면.. 2022. 5. 12.
경기굿(경기전통예술연구시리즈4) 저자: 경기도국악당 정가: 25,000원 사양: 4*6배판(양장) / 392쪽 출간일: 2008년 2월 20일 ISBN: 978-89-8477-394-3 93380 경기굿은 우리 나라 전역에서 행해지던 굿의 중심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강을 가운데 두고 각각 강신무와 세습무가 주축이 되었으며, 북으로는 황해도, 남으로는 충청도와 전라도를 포괄하고 경남 통영에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경기굿은 산악문화와 해양문화가 공존함으로써 도당굿이나 다양한 형태의 풍어굿으로 전승되어 왔습니다. 그만큼 경기굿은 독자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지역의 굿을 아우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경기굿󰡕은 경기굿이 지닌 독자성과 다양성을 근간으로 하여 그 자체가 지닌 원형에 대한 관심과 아울러 오늘의 .. 2022.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