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인의 책/학술

문학 연구와 문학교육

by 연인 2025. 3. 26.

 

 

 

저자: 송재익

사양: 신국판 / 440

정가: 25,000

출간일: 2025320

ISBN: 978-89-8477-744-6 93810

 

 

 

이 책은 문학교육의 현장에서 문학 작품이나 문학 연구의 지식이나 이론을 가르치고 배울 때 어떻게 하면 가르침과 배움에서 오는 보람과 즐거움을 살릴 수 있을지를 따져본 글들을 모은 것이다.

문학교육이라는 말은 문학과 교육이 합쳐진 말인데, 문학에만 무게를 두어서는 교육만의 보람을 살리기 어렵다. 문학을 교육을 위한 밑감으로 여겨야 한다. 문학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교육을 위한 문학이 되어야, 오히려 문학도 살리고 교육도 살릴 수 있다. 이것이 이 책을 내게 된 저자의 동기이자 문학교육의 철학이라 하겠다.

 

차례

첫째 마당: 교육의 참뜻을 살리는 문학교육

 

01. 문학 연구와 문학교육

1. 들어가며

2. 문학 연구와 문학교육은 어떻게 다른가?

3. 문학 연구와 문학교육은 어떤 관계 맺기를 할 수 있는가?

4. 문학교육은 문학 연구의 열매를 어떻게 살려 쓸 수 있는가?

5. 나오며 31

 

02. 듀이의 반성적 사고와 문학 지식 교육

1. 들머리

2. 듀이의 반성적 사고

3. 문학 지식 교육에서 반성적 사고 틀 살려 쓰기

4. 문학 지식 교육에서 반성적 사고 틀 살려 쓰기의 값어치

5. 마무리

 

03. 듀이의 경험 이론과 문학교육

1. 들머리

2. 듀이의 경험 이론

3. 경험과 작품 읽기의 관련성

4. 경험을 키우기 위한 문학교육의 갈피

5. 마무리

 

04. 문학교육을 문화교육으로 보는 문제에 대하여

1. 머리말

2. 문화, 문학, 교육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3. 문학교육을 문화교육으로 다룰 때 생길 수 있는 문제

4. 마무리: 바람직한 문화교육의 방향

 

05. 고전문학교육에서 재미, 흥미, 관심의 문제

1. 들머리

2. 고전문학교육에서 재미, 흥미, 관심은 왜 중요한가?

3. 고전문학은 재미, 흥미, 관심을 끌 수 있는가?

4. 고전문학에 재미, 흥미, 관심이 생기게 하려면?

5. 마무리

 

둘째 마당: 논쟁 중인 문학 이론과 문학교육

 

06. 우리 문학의 갈래

1. 들머리

2. 문학 갈래에 대한 몇 가지 논쟁

3. 문학 갈래 교육의 방향

4. 마무리

 

07. 가사 문학은 어떤 갈래인가?

1. 들머리

2. 가사는 문학의 어떤 갈래인가?

3. 가사가 문학의 어떤 갈래인지 문학 교실에서 다룬다면?

4. 마무리

 

08. 우리 노래의 말가락

1. 들머리

2. 우리 노래의 말가락에 대한 여러 이론

3. 우리 노래의 말가락을 문학 교실에서 다룬다면?

4. 마무리

 

09. 서술-시점 이론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들머리

2. 소설의 시점-서술에 대한 여러 이론

3. 시점-서술 이론을 문학 교실에서 다룬다면?

4. 마무리

 

10. 우리 옛 소설의 첫 작품

1. 들머리

2. 우리 옛 소설의 첫 작품은?

3. 문학 교실에서 옛 소설의 첫 작품에 대해 다룬다면?

4. 마무리

 

저자소개

송재익

교육학 박사(국어교육학).

초등학교에서 배움지기(교사)로 일하고 있으며, 참다운 교육이란 무엇인지 꾸준히 공부하고 있다.

교육, 교과교육, 국어교육에 관한 글을 여러 편 썼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