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김숙경
정가: 14,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284쪽
출간일: 2012년 1월 20일
ISBN: 978-89-5786-406-7 93680
1970년대 이후 전통의 현대화에 몰두했던 5인의 연출가들, 즉 김정옥, 오태석, 손진책, 김명곤, 이윤택 등의 연출 작업을 조망한 것이다. 전통의 현대화에 대한 논의는 1970년대부터 본격화되었고, 이후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표되었다. 따라서 2000년대 후반의 시점에서 ‘전통의 현대화’는 참신성의 측면에서 한참 밀려나 있는 연구 주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의 현대화’를 연구 주제로 선택한 이유는 나의 정체성을 스스로 찾아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오랜 동안, 나는 서양연극의 미학을 마음껏 즐기면서도 한편으로는 뭔가 우리만의 다른 연극 미학, 나아가 우리다운 삶의 미학이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품어 왔었다. 이는 마치 안개를 가슴에 품고 있는 듯한 답답함과도 같아서, 이 안개를 꼭 걷어내고 싶었던 것이다. 5인의 연출가들의 작업 분석을 통한 우리극의 정체성 찾기는 결코 수월하지 않았다. 전통의 현대화에 힘썼던 대표적인 연출가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 전통의 현대화를 위해 무엇이 강조되었고, 무엇을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또 무엇은 간과되고 있는지를 비교적 구체적으로 조망해 볼 수 있는 기회는 되었다.
차례
머리말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방향
2. 기존 연구사 검토
3. 연구방법
Ⅱ.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극과 전통 논의
1. 전통 논의의 배경
2. 전통의 의미와 속성
3. 전통 현대화의 연극사적 조망
Ⅲ.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극 연출에 나타난 전통의 현대화 양상
1. 김정옥: 충돌을 통한 새로운 창조로서의 전통의 현대화
1-1. 집단창조 방식과 열린 구조
1-2. 빈 무대의 시적 활용과 열린 공간으로서의 극장
2. 오태석: 한국인의 총체적 실체 탐구로 접근한 전통의 현대화
2-1. 비약의 원리와 다층구조
2-2. 산대정신과 서양식 극장공간의 결합
3. 손진책: 절충주의 방식으로 접근한 전통의 현대화
3-1. 비사실주의 구조로부터의 출발
3-2. 최소주의 무대표현
4. 김명곤: 마당극으로부터 출발한 전통의 현대화
4-1. 복합구조 지향과 서사극 구조의 활용
4-2. 마당의 연극공간화
5. 이윤택: 시대담론과 전통 논의의 결합
5-1. 점적 구조의 응용과 강화
5-2. 입체적 무대와 신화적 공간 창조
Ⅳ. 전통의 현대화가 제기한 우리극의 정체성 찾기
1. 구조: 문화상호주의적 실험과 ‘틈’의 원리
2. 공간: 유동적 공간과 ‘되어가는’ 공간성
3. 관객: 관객참여의 복합적 시도
Ⅴ. 결론
사진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극과인간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뮤지컬 발성법 (0) | 2022.04.28 |
---|---|
스토리텔링 시대의 플롯과 캐릭터 (0) | 2022.04.28 |
마당교육극의 정립과 실천 (0) | 2022.04.28 |
한국희곡의 좌파 내셔널리즘 (0) | 2022.04.28 |
(영원히 자유를 꿈꾸는 시인 광대) 김정옥의 연출세계 (0) | 2022.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