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양승국
정가: 22,000원
사양: 신국판/ 무선 / 448쪽
출간일: 2019년 8월 30일
ISBN: 978-89-5786-707-5 93680
이 책은 연극사도 희곡사도 아닌 채 감히 국문학과 학생들의 전공 공부를 주목적으로 저술되었다. 이 책은 개화기 이후부터 해방기까지의 연극사를 시대순으로 아우르면서 동시에 한국현대연극사의 흐름과 함께 주요 극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목표하였다. 이를 위해 주로 각 시대의 연극비평과 희곡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연극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가능한 실증적인 자료 제시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한국연극의 문제점과 성과를 찾아보도록 의도하였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과제 수행과 대학원 과정의 학습 주제를 염두에 두고 각 장마다 심화 학습 과제를 두어 보다 깊이 있는 공부를 도모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아무쪼록 이 책으로 한국현대연극과 희곡문학 공부에 한 가닥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부록으로 해방 이전에 활동한 극단의 목록과 해방기까지 지면에 발표된 희곡 목록을 첨부하였으니 학습과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의 말미에 이 책을 저술하는 데 도움이 된 참고문헌 대신, 어렵게 느끼는 한국 근대극 공부를 위해 더 읽으면 유용한 저서와 최근의 박사논문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연극에 대한 이해가 보다 깊어지기를 기대한다.
차례
책머리에
제1장 신연극의 성립과 전개
1. 극장의 설립
1.1. 연희장의 설립
1.2. 실내 극장의 설립
1.3. <은세계>와 신연극
2. 신파극
2.1. 신파극의 개념
2.2. 한국 신파극의 전개
3. 창작 희곡의 등장
제2장 근대극의 출발
1. 전문극단의 성립
1.1. 학생극 운동
1.2. 토월회
1.3. 그 밖의 전문극단의 활동
2. 연극론의 정립
2.1. 신파극신극논쟁
2.2. 계몽주의적 연극운동론
2.3. 김우진의 연극비평론
2.4. 홍해성의 비평과 시대극 운동
3. 창작 희곡의 발전
제3장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
1.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의 전개 과정
1.1. 국내의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
1.2. 재일본 조선인 연극운동
2.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의 이론
2.1. 볼셰비키적 대중화론
2.2. 공연방법의 모색
2.3. 자기비판과 운동 조직론
3. 프롤레타리아 희곡의 작가와 작품
제4장 극예술연구회의 신극운동
1. 극예술연구회의 성립과 활동
1.1. 극예술연구회의 운동적 기반
1.2. 극예술연구회의 공연 활동
2. 극문화 수립론
2.1. 소극장론
2.2. 번역극 우선론
3. 공연 현실의 극복 방안
3.1. 창작극 위주론
3.2. 관중본위론
3.3. 전문극단론
4. 창작 희곡의 융성
제5장 대중극의 발전
1. 대중극의 개념
2. 대중극단의 활동
2.1. 동양극장의 설립과 소속 극단의 활동
2.2. 그 밖의 1930년대의 주요 극단
2.3. 1930년대 군소 극단
3. 대중극 공연의 양식적 특성
3.1. ‘신파성’과 불완전한 대본
3.2. 막간(幕間)의 성행
4. 대중극의 이론
4.1. 통속적 대중화론
4.2. 중간극론
5. 대중극의 작가와 작품
제6장 국민연극 시대
1. 연극운동론적 배경
1.1. 신극 재건과 신연극
1.2. 신체제 연극론
1.3. 국민연극의 개념
2. 국민연극의 실천
2.1. 조선연극협회와 현대극장
2.2. 국민연극경연대회
3. 국민연극의 한계와 대중극의 힘
4. 1940년대의 대표희곡
제7장 해방기의 연극과 희곡
1. 좌익 연극의 활동
1.1. 조선연극건설본부와 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
1.2. 조선연극동맹
2. 우익 연극의 활동
2.1. 각 극단들의 활동
2.2. 정부 수립과 중앙국립극장
3. 극작가와 작품
부록:
부록1. 해방이전 극단의 활동 기간
부록2. 희곡작품 목록(1917~1949)
부록3. 한국 근대극 공부를 위한 참고문헌
저자소개
양승국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대학원 협동과정 공연예술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8~2009년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에 파견되어 한국문화 강의를 담당한 바 있다.
한국 현대 희곡과 연극을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지과학, 현상학, 해석학 등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드라마 전반으로 연구의 관심을 넓혀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김우진 그의 삶과 문학』(1998), 『희곡의 이해』(2000), 『한국 신연극 연구』(2001), 『한국근대연극영화비평자료집』(편저, 2006), 『한국 근대극의 존재형식과 사유구조』(2009), 『한국근대 연극비평사 연구』(2012), 『일상성의 미학에 이르는 길-텔레비전 드라마 연구방법론』(2019) 등이 있다.
'연극과인간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과 영화의 경계와 통합 (0) | 2022.04.29 |
---|---|
21세기 한국 공연예술의 양식과 현장 (0) | 2022.04.29 |
희곡창작실기론 (0) | 2022.04.29 |
배우의 정서 훈련 (0) | 2022.04.29 |
유치진과 드라마센터: 친일과 냉전의 유산 (0) | 2022.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