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연호
정가: 27,000원
사양: 신국판/양장 / 472쪽
출간일: 2019년 12월 13일
ISBN: 978-89-5786-711-2
지난 60년 동안, 필자는 공연예술의 현장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일을 해 왔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2017년 10월에 공연예술의 통사를 기술한 역사서 『우리 공연예술의 역사와 미래 전망』이라는 저서를 출간했다.
필자는 책을 내고 나서 현실 문제를 소홀하게 지나칠 수밖에 없었던 점이 유감으로 남았다 한다. 이에 『21세기 한국 공연예술의 양식과 현장』을 출간하게 된 것이다. 이 책은 현재를 기점으로 한국 공연예술의 현실과 장래성에 관한 필자의 생각을 ‘보편적인 이론’으로 집약해 보려 한 시도이다.
이 책은 한국 공연예술의 양식과 현장을 기준으로 기술되었다.
흔히 사용하는 말 연희(演戱)는 지난날 공연예술의 한자식 용어이다.
필자는 이 말보다 공연예술학이나 공연예술론이 오늘날 보편성을 갖는 개념이라 생각하고, 이 책에서 한국의 공연예술을 총체적으로 탐구하고 기술하는 데 치중하였다.
음악, 무용, 연극 같이 개별적인 양식으로 쓰인 예술사 및 예술론들은 이미 상당한 분량으로 쌓였다. 또한 지난날의 공연들을 전통예술, 민속예술, 연희예술이라는 개념으로 시대 및 종류별로 정리한 연구서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 책은 공연예술의 양식 갈래를 성악, 기악, 음악극, 무용, 기생공연, 신체행위, 인형극, 광대재담극, 유랑광대공연, 구연, 무예, 무속의례, 무용극, 축제, 불교의례, 상장의례, 궁중의례, 근현대연극, 근현대음악극 등 18개로 나누었다.
차례
1. 성악양식: 영혼을 일깨우는 마음의 노래
1.1. 노래・소리・타령
1.2. 성악양식의 전승
1.3. 창작판소리
1.4. 아리랑의 현대화
1.5. K팝의 세계화와 한계
1.6. 오염과 공해를 정화해야
2. 기악양식: 조화로운 선율과 신선한 감동
2.1. 독주와 합주
2.2. 기악양식의 전승
2.3. 가야금산조의 계승과 창작
2.4. 시나위의 변용
2.5. 농악
2.6. 사물놀이
2.7. 한국음악으로 거듭나기
3. 무용양식: 몸짓에서 구현되는 생동미
3.1. 무용과 신체행위
3.2. 무용양식의 전승
3.3. 전통무용의 재정립.
3.4. 정재무의 복원
3.5. 한국무용으로 거듭나다
3.6. 대표적인 춤꾼들
3.7. 한국무용의 전통과 창작
4. 기생공연양식: 가무악을 겸비한 예능인
4.1. 기생・기녀・여기
4.2. 황진이
4.3. 협률사
4.4. 기생조합의 활동
4.5. 다나베 히사오의 조선여행기
4.6. 조선권번 기생양성소
4.7. 기생공연의 의의
5. 신체행위양식: 감각적 기술과 현실적 비전의 결정체
5.1. 신체행위양식의 다양성
5.2. 줄타기
5.3. 곡예
5.4. 마술
5.5. 팬터마임
5.6. 넌버벌・비보이・신체극
5.7. 피겨스케이팅
5.8. 맹목적인 신체행위의 문제
6. 인형극양식: 막대기인형들의 익살스러운 춤
6.1. 꼭두각시놀음
6.2. 꼭두각시놀음의 전승
6.3. 등장인물의 성격적 취약성
6.4. 현대의 꼭두극
6.5. 꼭두각시놀음의 현주소
7. 광대재담극양식: 현실을 초월한 익살과 웃음
7.1. 광대재담극
7.2. 조선시대 소학지희
7.3. 19세기 이후
7.4. 1970년대 이후
7.5. 마당놀음
7.6. 동시대 익살꾼은 어디에
8. 유랑광대공연양식: 살판 죽을 판 넘나드는 재능
8.1. 유랑광대
8.2. 조선시대 이전의 유랑광대
8.3. 조선시대
8.4. 곡예 중심 유랑광대
8.5. 사찰 의존 유랑광대
8.6. 예능 중심 유랑광대
8.7. 유랑광대 공연의 의의
9. 구연공연양식: 듣기와 들려주기의 언어예술
9.1. 구연과 구술
9.2. 낭독・낭송의 전승
9.3. 낭독
9.4. 낭송
9.5. 이야기 구연
9.6. 구연양식과 스토리텔링
10. 무예양식: 공격 살생보다는 방어와 안전
10.1. 무예와 무술
10.2. 수박희
10.3. 활쏘기
10.4. 택견
10.5. 십팔기
10.6. 태권도
10.7. 올바른 무예의 길
11. 무속의례: 무당마다 다른 신과 굿
11.1. 굿과 굿놀음
11.2. 굿의 전승
11.3. 굿의 문화유산
11.4. 굿극의 창작
11.5. 공연예술로서의 굿
12. 무용극양식: 춤이 만들어낸 드라마
12.1. 무용극과 무용
12.2. 무용극의 유산
12.3. 송범 이전의 무용극
12.4. 송범의 무용극
12.5. 현대탈춤극
12.6. 무용극의 새 단계
13. 축제양식: 세속적 삶에서 신성을 회복하는 집단연행
13.1. 맞이굿・나눔굿
13.2. 축제정신
13.3. 축제의 쇠퇴와 부활
13.4. 풍농기원형・풍어기원형 축제
13.5. 위인추모형・집단경연형 축제
13.6. 예능형・모의연극형 축제
13.7. 현대이벤트
13.8. 살아있는 축제를 위해
14. 불교의례: 집착에서 벗어나려는 노래와 춤
14.1. 법회와 법패
14.2. 작법사의 작법무
14.3. 영산재
14.4. 연등회의 어제와 오늘
14.5. 불교예술 및 사찰공연의 아쉬움
15. 상장의례: 망인을 저승으로 보내는 문화
15.1. 망인에 대한 의식
15.2. 상장의례의 전승
15.3. 섬지역의 상장의례
15.4. 상엿소리와 달구소리
15.5. 상장의례의 창의적 복원공연
16. 조선시대 궁중의례: 진중한 품격과 우아한 아름다움
16.1. 국가적 의례
16.2. 각종 연향(가례)
16.3. 종묘제례악 및 제례(길례)
16.4. 각종 제사(길례)
16.5. 나례(군례)
16.6. 장악원
16.7. 복고적인 전통인식 탈피해야
17. 근현대의 연극양식: 무대를 통한 창조적 도전
17.1. 연극양식의 변혁
17.2. 근대극 양식
17.3. 사실극과 마당극
17.4. 풍자극과 부조리극
17.5. 신화극과 역사극
17.6. 서사극과 잔혹극
17.7. 창조적 성과와 미래
18. 근현대의 음악극양식: 새 별이 탄생하는 놀라움과 환희
18.1. 음악극의 탄생
18.2. 음악극의 전승
18.3. 현대창극
18.4. 현대오페라
18.5. 현대국악극
18.6. 현대뮤지컬
18.7. 총체극
18.8. 음악극시대 한국 음악극의 위상
책을 끝내며
저자의 참고 논저 목록
색인: 공연예술 분야의 인물
저자소개
서연호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현 국가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장
'연극과인간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교양잡지와 연극비평지의 탄생 (0) | 2022.04.29 |
---|---|
연극과 영화의 경계와 통합 (0) | 2022.04.29 |
한국현대극 강론 (0) | 2022.04.29 |
희곡창작실기론 (0) | 2022.04.29 |
배우의 정서 훈련 (0) | 2022.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