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여운필
정가: 25,000원
사양: 신국판(양장) / 452쪽
출간일: 2011년 12월 23일
ISBN: 978-89-8477-500-8 93810
<역주 고려사 악지>는 우리 예술사의 여러 갈래를 포함하고 있는 요긴한 문헌이면서도 중국문학자인 차주환(車柱環) 선생에 의한 역주만 이루어졌을 만큼 손을 덜 탄 책이다. 그것은 당악이 아악․속악에 비하여 분량이 많을 뿐 아니라, 아무나 넘보기 어려울 만큼 난해하고 희귀한 내용을 담고 있는 탓이었던 데 기인할 것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이 책의 경우에도 아악․속악 부분은 기존의 것보다 결점이 적을 수 있지만, 당악에 관해서는 오늘날의 컴퓨터를 이용한 공부로 말미암은 큰 이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분의 견식에 상당히 기댈 수밖에 없었다. 다만 그분의 고려사 악지․고려당악의 연구에 보이는 본의 아닌 실수들을 바로잡거나, 고증과 번역 모두 더 정확하고 자세하게 가다듬는 데 진력하였음을 밝힌다.
차례
서문
역주의 범례
고려사 악지 해제
지 권 제24 고려사
악 1
아악
국왕이 몸소 제사를 올릴 때의 등가와 헌가
등가
헌가
유사가 일을 대행할 때의 등가와 헌가
등가
헌가
예종 11년
등가의 악기
헌가의 악기
등가와 헌가에서 음악을 질주하는 절도
원구의 친사
사직
태묘의 체협향․시향․납향
선농의 친향
선잠
문선왕묘
헌가의 음악을 독주하는 절도
예종 11년
인종 12년
명종 18년
공민왕 8년
공민왕 19년
공민왕 20년
공양왕 원년
태묘의 악장
예종 11년
태조 제1실
혜종 제2실
현종 제3실
덕종 제4실
정종 제4실
문종 제6실
순종 제7실
선종 제8실
숙종 제9실
공민왕 12년
태조 제1실
혜종 제2실
현종 제3실
원종 제4실
충렬왕 제5실
충선왕 제6실
충숙왕 제7실
충혜왕 제8실
충목왕 제9실
공민왕 16년
초헌
아헌
삼헌
사헌
오헌
종헌
공민왕 20년
왕이 문으로 들어가면【궐】의 곡을 연주한다.
왕이 관세하면【궐】의 곡을 연주한다.
왕이 전에 오르고 내릴 때【궐】의 곡을 연주한다.
왕이 소차에 들어오고 나갈 때【궐】의 곡을 연주한다.
신을 맞이할 때【궐】의 곡을 연주한다.
폐의 전을 올릴 때【궐】의 곡을 연주한다.
사도가 조두를 받들 때【궐】의 곡을 연주한다.
【궐】 제1실에서【궐】의 곡을 연주한다.
【궐】 제2실에서【궐】의 곡을 연주한다.
【궐】 제3실에서【궐】의 곡을 연주한다.
【궐】 제4실에서【궐】의 곡을 연주한다.
【궐】 제5실에서【궐】의 곡을 연주한다.
【궐】 제6실에서【궐】의 곡을 연주한다.
【궐】 제7실에서【궐】의 곡을 연주한다.
왕이 음복하면 이성지곡을 연주한다.
문무가 물러가고 무무가 나오면 숙녕지곡을 연주한다.
송나라에서 새로 악기를 내려주다
예종 9년
고취악을 쓰는 절도
지 권 제25 고려사
악 2
당악
악기
헌선도
수연장
오양선
포구락
연화대
석노교
만년환
억취소
낙양춘
월화청
전화지
김황은
취태평
하운봉
취봉래
황하청
환궁악
청평악
여자단
수룡음
경배악
태평년
금전악
안평악
애월야면지
석화춘조기
제대춘
천추세
풍중류
한궁춘
화심동
우림령
행향자
우중화
영춘악
낭도사
어가행
서강월
유월궁
소년유
계지향
경금지
백보장
만조환
천하악
감은다
임강선
해패
속악
악기
무고
동동
무애
서경
대동강
오관산
양주
월정화
장단
정산
벌곡조
원흥
금강성
장생포
총석정
거사련
처용
사리화
장암
제위보
안동자청
송산
예성강
동백목
한송정
정과정
풍입송
야심사
한림별곡
삼장
사룡
자하동
삼국의 속악
신라
동경
목주
여나산
장한성
이견대
백제
선운산
무등산
방등산
정읍
지리산
고구려
내원성
연양
명주
속악을 쓰는 절도
문종 27년
문종 31년
공민왕 14년
공민왕 15년
공민왕 16년
공민왕 21년
부록 : 고려 속악의 쟁점 검토
高麗時代의 漢詩와 國文詩歌
先覺國師碑銘의 官職에 비추어 본 鄭敍의 生涯
<翰林別曲>의 創作時期 再論
<翰林別曲>의 ‘雙韻走筆’에 대하여
<雙花店> 硏究
색인
'월인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문학의 불교적 탐구 (0) | 2022.04.20 |
---|---|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8 (0) | 2022.04.20 |
석천 임억령의 생애와 시문학 (0) | 2022.04.20 |
중세 여행 체험과 문학교육 (0) | 2022.04.20 |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5)(어문총서 2-3) (0) | 2022.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