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인의 책735

구비문학, 분석과 해석의 실제 저자: 박종성 정가: 17,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512쪽 출간일: 2002년 10월 25일 ISBN: 89-8477-137-6 93380 오늘날 한국 구비문학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연구대상에서도 인접학문분야와 세계 구비문학자료를 포괄하는 등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 책의 구성과 내용 역시 이러한 흐름이다. 이와 함께 관심의 폭을 인접학문분야로 돌려 역사학이나 언어학, 고전소설과 연계된 논의도 하였다. 차례 제1부 설화의 세계 제2부 무가의 세계 제3부 탈춤의 세계 제4부 비교연구의 세계 제5부 구비문학과 인접분야 2022. 5. 11.
우리민속학의 이해 저자: 김선풍 외 정가: 15,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530쪽 출간일: 2002년 3월 15일 ISBN: 89-8477-078-7 93380 민속학 전공자를 위한 입문서. 민속학의 과거와 미래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세시풍속의 이해와 한국인의 일상의례 읽기, 설화란 무엇인가?, 한국인의 순수한 정서를 담고 있는 민요, 민속놀이와 축제, 풍물.판소리 그리고 민속극 보기 등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관련 사진자료와 함께 자세히 설명했다. 차례 - 민속학, 그리고 과거와 미래/김선풍 - 사회 공동체를 통한 민속 보기/박환영 - 우리나라 세시풍속의 이해/김이숙 - 먹고 입고 살아가는 이야기/김인희 - 한국인의 일생의례 읽기/홍순례 - 예서와 관행의 관혼상제 비교/류춘규 - 영동지역 가신신앙 산멕이와.. 2022. 5. 11.
몽골의 무속과 민속 저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민속연구소 정가: 14,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324쪽 출간일: 2001년 10월 13일 ISBN: 89-8477-051-5 9338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원 국어 연구서가 기획·집필하는 한국학 연구 총서 시리즈. 에서 발표되었던 8편의 논문과 몽골의 민속문화에 대해 쓴 3편의 논문을 함께 수록했다. 차례 제1부 몽골의 무속 제2부 몽골의 민속 2022. 5. 11.
강화구비문학대관 저자: 김문태 편 정가: 30,000원 사양: 4X6배판(반양장) / 836쪽 출간일: 2001년 5월 10일 ISBN: 89-8477-031-0 93380 강화도는 자그마한 섬이지만, 한국 민족사의 축소판이요 문화유산의 보고라 할 수 있다. 강화도는 단군 성조의 참성단을 비롯한 선사 시대의 지석묘에서부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중요한 사건들의 현장을 비롯한 민족의 아픔의 현장인 남북 분단의 휴전선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깊게 서려있는 곳이다. 따라서 이에 따른 우리 민족의 얼과 정기를 담고 있는 문화 유산들이 강화도 전역에 산재해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차례 축사 / 나길모, 이찬우 발간사 / 김흥주 서문 강화 전도 범례 강화군 및 읍·면 개관 강화읍 교동면 길상면 내가면 불은면 삼산.. 2022. 5. 11.
퇴계원 산대놀이 저자: 퇴계원 산대놀이보존회 정가: 15,000원 사양: 4X6배판(반양장) / 232쪽 출간일: 1999년 12월 30일 ISBN: 89-88297-72-5 03380 이 책은 퇴계원 지역을 중심으로 놀던 산대놀이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일반인들이 퇴계원산대놀이에 대하여 손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퇴계원산대놀이에 대한 종합적인 해설서로 그 유래, 연희내용, 춤사위, 연희본, 탈, 의상, 소품 등을 해설과 함께 사진 자료 등으로 상세하게 정리되어 있다 차례 001. 발간사 002. Summary 003. 화보(도판) 004. [탈춤에 대하여] 005. 탈춤이란 006. 한국탈춤의 지역적 분포 007. 산대의 뜻과 산대놀이의 유래 008. [퇴계원산대놀이] 009. 퇴계원산대놀이의 놀이.. 2022. 5. 11.
한국축제의 이론과 현장 저자: 김선풍 외 정가: 50,000원 사양: 신국판(양장) / 1,400쪽 출간일: 2000년 10월 21일 ISBN: 89-8477-116-3 93380 송천 김선풍 박사의 화갑 기념집. 한국 민속학회와 세계 민속학회 회장을 맡아 민속학 발전에 기여한 대학자 김선풍 박사의 업적을 그렸다. 차례 1부 한국 축제의 이론 1. 한국 축제의 역사와 본질 2. 한국 축제와 인접 학문 3. 한국 축제의 과제와 미래 2부 한국축제의 현장 1. 한국 지역축제의 개관 2. 전통 축제 3. 현대 축제 2022. 5. 11.
민속예술의 정서와 미학 저자: 민속학회 정가: 16,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438쪽 출간일: 2000년 3월 15일 ISBN: 89-88297-82-2 93380 이 글은 민족예술의 정서와 미학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민속예술의 정체는 전통문화의 체계적 층위로 파악했을 때에 찾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그 문제부터 해명하였다 차례 001. 민속예술의 정서와 미학[김헌선] .....(5) 002. 전통축제의 성격과 민속예술의 위상[한양명] .....(35) 003. 한국민요의 음악적 특성을 통해본 美的 性格에 관한 일고찰(63) 004. 아라리의 사설양상과 창자집단의 정서적 지향에 관한 ...(89) 005. `어사용`의 정서와 美的 價置 [권오경].....(105) 006. 서사민요 구연에 나타난 정서적 반응.. 2022. 5. 11.
한국민속문학형태론 저자: 곽진석 정가: 10,000원 사양: 신국판(양장) / 272쪽 출간일: 2000년 1월 10일 ISBN: 89-88297-76-8 93810 민간전승은 주지하다시피 전통, 또는 말이나 관습에 의해 후대에 전해진 재료들이다. 여기에는 민요·민담·수수께끼·속담 또는 말로 전해지는 다른 재료들과, 전통적인 도구와 물건들, 전통적인 장식품, 전통적인 상징, 전통적인 절차, 전통적인 믿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민속문학이 한국문학사에서 갖는 이러한 기능을 염두에 두면서 텍스트 해석의 준거로 텍스트론을 견지하였다. 텍스트론은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기호로 이루어진 대상인 텍스트의 텍스트성, 즉 텍스트로서의 속성을 밝히고자 했다. 차례 001. [민담과 문학] 002. 원귀형 귀신담의 형태론 003.. 2022. 5. 11.
(신수판)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저자: 강등학, 강진옥, 김기형, 김헌선, 박경신, 신동흔, 유영대, 전경욱, 천혜숙 정가: 20,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580쪽 출간일: 2011년 3월 5일 ISBN: 978-89-8477-611-1 93810 2001년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개정판 3쇄 발행) 한국구비문학에 대한 현단계의 인식을 집약하고 구비문학 교육의 새 장을 열기 위한 개설서이며 공동의 저술서. 새로운 자료 및 연구성과를 적극 반영하여 구비문학에 대한 이해을 일신할 수 있다. 또한 이론과 자료의 조화를 지향하여 자연스럽게 구비문학의 특징을 체득할 수 있고, 공시적 이해와 함께 통시적 이해의 관점을 보완하였다. 각 장마다 전통 구비문학 양식의 현대적 변용 양상을 기술하였으며, 책 말미에 따로 현대 구비문학에 .. 2022.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