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쳔신이, 류윈청 저, 오수경 역
정가: 8,000원
사양: 국판변형 / 124쪽
출간일: 2020년 9월 30일
ISBN: 978-89-5786-747-1
중국전통희곡총서 시리즈는 한중연극교류협회(회장 오수경) 주관으로 전승 레퍼토리와 창작 레퍼토리를 포함한 중국 고전 희곡을 국내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2020년에는 <금자>(차오위 원작, 룽쉐이 각색, 오수경 옮김), <휘주여인>(천신이, 류윈청 지음, 오수경 옮김), <진중자>(왕런졔 지음, 김우석 옮김), <설랑귀>(취자오졔 지음, 오수경, 임미주 옮김) 네 작품을 소개한다.
황매희 《휘주여인》은 20세기 말 황매희를 대표하는 배우 한자이펀이 휘주의 전통적인 마을 풍경을 담은 잉텐치의 “시띠 마을 시리즈” 판화를 보고 영감을 받아, 그에게 공동 기획을 제안한 데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미술과 연극을 연결시키고, 휘주 문화를 배경으로 휘주 여인의 삶을 담자는 기획 의도에 따라 여성 연출가 차오치징을 영입하고, 다시 휘주 출신 여성 연출가이자 극작가인 쳔신이를 청하였다. 천신이가 자신의 고모의 삶을 모델로 대본을 썼고, 발의자인 한자이펀이 주인공을 맡았다. 이 여성 연극인들을 중심으로 인문적 사유와 지역 서정이 담긴 황매희 《휘주여인》이 탄생하였다.
이 작품은 4막 구성으로, 각 막마다 잉티엔치의 판화가 확대되어 배경을 이루고,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휘주 마을을 상징하는 어둡고 무거운 흑백의 배경 속에 여인의 일생이 전개된다. 제1막에서는 여인이 자신이 몽매 바라던 선비에게 시집가는 날, 선비가 입신양명을 위해 떠났다는 가족들의 말에 기다리겠노라 대답한다. 그녀는 이 지울 수 없는 아름다운 인상과 남편이 남겨놓은 머리채에 기대어 십 년을 기다린다. 제2막은 십 년이나 소식이 없는 아들 때문에 며느리에 대한 안쓰러움으로, 시부모가 며느리를 시집 보내겠다고 나선다. 여인은 그럼 딸이 되겠다 한다. 마침 영창현감이 되었다는 아들의 전보가 당도하여 모두에게 희망을 더해주고, 여인은 다시 긴 기다림을 택한다. 그러나 혼인과 득남의 소식이 전해오자, 마을의 늙은 수재는 이를 여인에게 알리지 말라 한다. 제3막에서는 시부모님도 돌아가시고 남편도 이미 타향에서 가정을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된 여인이 막막한 상황에서 봄을 맞아 끓어오르는 욕구를 억누르며 괴로워하다가, 자연으로부터 존재의 이치를 터득하고 삶의 의지를 되찾게 된다. 마침 시동생으로부터 건네받은 양자를 안고 새로운 삶의 희망을 갖게 된다. 제4막에서는 드디어 남편이 돌아온다. 여인은 15살이 된 아들을 학당으로 보내며, 자신도 바깥세상에 나가 보고 싶다는 바람을 기탁한다. 높고 육중한 휘주 고건축의 계단에서 마주친 남편이 그녀가 누구인지 묻자, 여인은 “아이 고모지요.”라고 대답하며, 긴 층계를 내려온다. 35년간 기다림으로 일관된 한 여인의 삶을 어떤 외적인 갈등도 없이, 그저 내면의 갈등과 평정의 반복, 그리고 날라리꾼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의 고요한 관심으로 엮어내고 있다.
차례
휘주여인
동아시아 전통 여성상의 미학적 승화, 《휘주여인》
저자소개
쳔신이
국가 1급 연출가. 원명이 천핑(陈坪)이고, 안휘성 동성(桐城) 사람이다. 서북희곡연구원 실험연극학교, 중앙희극학원을 거쳐 작가 겸 연출가로 활발한 활동을 해 왔고, 지금은 상해시 특약 연출가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부 상을 12회나 수상하였고, 경극 《정관성사(貞觀盛事)》와 현대극 《상앙(商鞅)》 아동극 《붉은 스카프(紅領巾)》 등을 연출했고, 창작 극본으로 황매희 《휘주여인》(공동 창작)으로 차오위문학상을 수상하였고, 아동극 《안데르센》, 현대극 《홍루몽》 등이 있다. 최근에는 상해에서 ‘쳔신이예술센터’를 설립하여 창제작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노익장의 연극인이다.
류윈청
국가 1급 극작가. 안휘 안경(安慶)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신동이라 불렸다. 황매희 《실형참(失刑斬)》과 《휘주여인》(공동 창작), 그리고 항일의 내용을 담은 광동 월극 《곱추의 깃발(駝哥的旗)》로 중국 극작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차오위극본상을 세 차례나 수상하였다. 그 후 심천에 거주하며 월극 작가와 심천월극단 예술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수경
한양대 중문과 교수, 한국중국어문학회 회장, 한국중국희곡학회 회장, 베세토연극제 국제위원 등을 역임했고, 지금은 한중연극교류협회를 이끌고 있다. 40여 년간 중국희곡 및 중국연극사 연구에 종사해왔고, 한중 연극 교류와 중국희곡 번역에도 힘을 쏟아, 《다관》, 《뇌우》, 《버스정류장》, 《피안》 등이 있다. 최근에는 《중국현대희곡총서》와 《중국전통희곡총서》를 기획, 출판하고 있다.
'연극과인간의 책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랑귀(중국전통희곡총서 9) (0) | 2022.06.07 |
---|---|
진중자(중국전통희곡총서 8) (0) | 2022.06.07 |
금자(중국전통희곡총서 6) (0) | 2022.06.07 |
더러운 손(Les Mains Sales) (0) | 2022.06.07 |
손님(중국현대희곡총서 17) (0) | 2022.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