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김성희
정가: 22,000원
사양: 신국판 / 436쪽
출간일: 2017년 2월 20일
ISBN: 978-89-5786-606-1 93680
이 책은 1920년대 역사극의 태동에서 2000년대 탈근대 역사극에 이르는 80여 년 동안의 역사극의 흐름과 경향성을 탈근대 역사관과 신역사주의 방법론으로 고찰하고 있다. 역사인식과 미학적 표현방식에 따라 크게 근대 역사극과 탈근대 역사극,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시기적으로 보면 근대 역사극은 대략 1980년대까지의 역사극, 탈근대 역사극은 1990년대 이후의 역사극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둘을 가르는 본질적인 분류 기준은 역사 개념, 역사 해석과 재현, 역사 다시 쓰기 방식의 차이라 할 수 있다. 근대의 역사극은 대문자역사(History)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탈근대 역사극은 대문자역사의 해체를 통한 소문자역사들(histories)을 무대 위에 불러낸다.
원본으로서의 역사와 거대서사, 역사의 발전과 총체성에 대한 믿음을 견지하는 근대 역사극은 역사의 객관적 재현이란 이상을 가지고 민족사의 수난, 국난 극복의 영웅, 체제와 갈등하는 개인이나 민중집단을 주로 다루었다. 탈근대 역사담론은 역사를 실재가 아닌 이데올로기적 구성물로 판단한다. 과거와 역사가 불일치하다는 관점은 역사적 상상력의 자유를 확장하고, 하나의 과거는 여러 개의 역사들로 쓰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탈근대 역사관의 영향으로 역사극은 탈역사화화고, 개인과 일상, 팩션이 주요 코드로 부상한다. 근대 역사극이 역사의 재현을 목표로 했다면 탈근대 역사극은 역사의 허구화와 역사의 유희를 지향한다.
-‘머리말’ 중에서
차례
머리말
Ⅰ. 서론
1. 역사의 연극화와 연극의 역사화
2. 선행연구 검토
3. 한국 역사극의 통시적 고찰
4. 역사극의 개념과 범주
5. 연구 방향
Ⅱ. 근대 역사극
제1장 한국 역사극의 기원과 장르 형성
1. 한국 역사극의 기원과 역사극을 둘러싼 담론들
2. 역사소설과 역사극의 교섭:
<마의태자> 모티프의 변주와 민족담론
3. 야담과 역사극의 교섭: 이동규의 <낙랑공주>와 <낙화도>
4. 담론적 구성물로서의 역사극
제2장 유치진의 역사 담론과 재현 방식
1. 역사극의 아버지, 유치진
2. 역사극 전환의 계기와 역사극 담론
3. 극작술과 역사 재현의 정치학
4. 민족/전통의 재현, 여성의 재현
제3장 여성국극: 장르 형성과 이미지로서의 역사
1. 대중 역사극으로서의 여성국극
2. 장르 형성과 민족담론
3. 스타이미지: 임춘앵과 김진진
4. 관객성
5. 이미지로서의 역사
6. 대중역사극으로서의 한계
제4장 국립극단의 역사극, 그 재현의 정치학
1.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
2. 1950년대 역사극의 연속성과 장르 관습의 형성
3. 1960〜70년대 역사극과 민족/국가/민중담론
4. 담론 투쟁의 장으로서 역사극
제5장 김의경의 실증주의 역사극: 망각과 치욕의 역사쓰기
1. 탈근대의 시대에 쓰는 실증주의 역사극
2. 고증과 정확성을 바탕으로 한 남성적 서사
3. 망각과 치욕의 역사쓰기
4. 역사적 진실과 ‘이야기’
Ⅲ. 탈근대 역사극
제1장 오태석의 탈근대 역사극: 역사의 현재화와 대안적 역사쓰기
1. 탈근대 역사담론과 오태석
2. 공식역사에서 배제된 잉여의 자리, 하위주체 여성-<태>
3. 전쟁기억: 과거의 역사화와 타자성-한국전쟁 3부작
4. 근현대사와 대안적 역사쓰기
5. 기억 재현의 특성과 의미
제2장 정복근의 역사극: 패자의 역사쓰기
1. 들어가며: 정복근 역사극의 지형도
2. 역사의 반복 패턴, 민중집단의 신비화: 지킴이 3부작
3. 개인사와 민족담론의 교직: <덕혜옹주>
4. 과거사 규명과 민족 횡단적 시각: <짐>
5. 정복근 역사극의 성취와 한계
제3장 이윤택의 역사극: ‘인간의 역사’ 쓰기와 한국적 연극미학
1. 들어가며
2. 이윤택의 ‘한국적 연극’ 담론
3. <문제적 인간 연산>: 인간 연산과 유령들의 공간
4. <아름다운 남자>: ‘역사의 인간’에서 ‘인간의 역사’로
5. <혜경궁 홍씨>: 유령들을 통한 기억의 재현과 여성의 주체화
6. 초역사적 상상력과 역사효과
제4장 1990년대 이후 역사극의 탈역사화 경향:
역사의 유희와 일상사적 역사쓰기
1. 1990년대 이후 역사극의 경향
2. 탈근대 역사극과 탈역사주의
3. 역사 거슬러 쓰기: <대대손손>
4. 현재와 과거의 몽타주: <용병>
5. 식민지 근대성의 혼종성과 균열: <조선형사 홍윤식>
6. 나오며
Ⅳ. 결론
'연극과인간의 책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장애인을 위한 심리학적 접근의 연극치료 (0) | 2022.04.29 |
---|---|
러시아 햄릿 (0) | 2022.04.29 |
연극 공간의 이론과 생산 (0) | 2022.04.29 |
배우의 역할 되기 (0) | 2022.04.29 |
근대 극장의 여자들 (0) | 2022.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