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이혜경
정가: 15,000원
사양: 신국판(반양장) / 320쪽
출간일: 2008년 8월 25일
ISBN: 978-89-5786-255-1 93680
이 책에 실린 평론들은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필자가 '영미페미니즘학회지', '국민대학교 예술논총' 등에 발표했던 논문들과 세계연극학대회, 드라마학회의 발제문, 그리고 '문예연감', '한국연극', '연극평론', '빛과 소금', '뷰즈', '미르' 등의 잡지에 게재했던 글들의 모음이다.
차례
소통 방식 소통하기 9
이강백의 현실 인식과 소통 방식: 알레고리의 미덕과 한계 _ 11
소통의 내용과 형식의 충돌: 「느낌, 극락같은」을 중심으로 _ 36
시극(詩劇), 그 오래된 낯선 형식: 동시대와의 소통을 꿈꾸다 _ 56
새 세대와 소통하는 판소리의 힘: 시극적 형식미, 영상적 내러티브 _ 79
뮤지컬 명성황후: 타자적 시선으로 글로벌 시장과 소통하기 _ 90
한국 연극 넓게보기 111
한국 연극 100년: 현대사의 소용돌이에서 전통을 안고 세계로 _ 113
세기말의 한국 연극: 문화의 시대를 향한 진통과 반성 _ 124
말에서 몸까지, 무대에서 객석까지: 서양 연극의 문화교차적 수용 _ 130
양적 성장에 따른 활력과 다양성: 2004년 뮤지컬 공연계 _ 144
뮤지컬 산업의 빅뱅 시대: 2005년 뮤지컬 공연계 _ 157
공연 현장 읽어내기 169
「아리랑」, 「가거라 삼팔선」, 「툇자아저씨와 거목」: 신극과 신파의 잔영 속에서 _ 171
「1999 레이디 맥베스」: 사로잡힌 영혼에 대한 몽환적인 보고서 _ 173
「시골선비 조남명」: 지식인의 구도자적인 삶 _ 176
「배장화 배홍련」: 대물림되는 악의 심리 보고서 _ 179
「백설공주를 사랑한 난장이」: 목마른 세대를 위한 동화 _ 182
판두르의 「단테의 신곡(神曲)」: 계시와 상상의 차이 _ 187
카스텔루치의 「창세기」: 그곳에 천국은 없다 _ 192
「서안화차」: 굴절된 풍경, 낯선 여행 _ 195
「휴먼 코메디」: 연약한 인간을 향한 유쾌한 시선 _ 198
「킹 앤 아이」와 「풀 몬티」: 남성성에 대한 시선의 차이 _ 201
「오르골」: 첫사랑과 추억, 그 향기로운 타피스트리 _ 204
「에쿠우스」: 억압과 위선의 종교에 대한 도발적 질문 _ 208
「한씨연대기」: 한씨를 연대기에서 해방하라 _ 211
2004년 가을 러시아 연극계: 연극성의 풍성한 변주 _ 214
「이발사 박봉구」: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타자화의 위험 _ 220
「배신」: 세 줄기의 아이러니가 엮어내는 정교한 모호성 _ 223
「필로우맨」: 불멸의 존재 꿈꾸는 실낙원의 이야기꾼 _ 228
「이사벨라의 방」: 정복과 관조, 행복에의 갈망 _ 237
「2008 레이디 맥베스」: 애매함의 신비와 함정 _ 242
카스텔루치의 「신곡(神曲)」: 종말적 묵시와 창세적 반역의 혼재 _ 253
더불어 말하기 265
알렉세이 드미도프 외(外): 스타니슬라프스키 시스템의 생명력 _ 267
장 기 르카(Jean-Guy Lecat): 말하는 공간, 숨쉬는 극장 _ 291
이영란: 살아있는 물체, 창의적 감성의 연금술 _ 309
저자소개
이혜경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에서 연극학 석사 및 박사를 마쳤다. 현재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전공 주임교수 및 한국연극교육학회 부회장과 한국 뮤지컬대상 심사위원으로 활동중이다.
저서로는 연극의 현실인식과 자의식(현대미학사, 1997), 한국에서의 서양연극(공저, 소화출판사, 1999)이 있고, 논문으로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창의적 파트너쉽을 위한 연극 교육의 확장과 변주」 등이 있다.
1996년 한국연극평론가협회로부터 올해의 평론가상을 수상하였고, 2000년 「러시아 록 오페라-아보스」(문예회관 대극장), 2004년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세우아트센터), 2008년 「안티고네」(학전 블루)의 공연을 제작하였다.
현재 국민레퍼토리극단 <보레나비>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연극과인간의 책 >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매체 시대의 연극 (0) | 2022.05.10 |
---|---|
실상과 허상 사이 (0) | 2022.05.10 |
빛의 유적 (0) | 2022.05.10 |
언어와 이미지의 수사학 (0) | 2022.05.10 |
무대와 스크린-이야기를 담는 그릇 (0) | 2022.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