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극과인간의 책/교양

실상과 허상 사이

by 연인 2022. 5. 10.

 

 

 

저자: 김중효

정가: 20,000

사양: 4*6배판변형(반양장) / 408쪽

출간일: 2009년 6월 5일

ISBN: 978-89-5786-305-3 93680

 

 

무대 위의 이미지는 연극작품의 시각적 환경을 담보로 살아가는 조건부 생명체들이다.

이들은 설명하지 않고 암시를 한다. 그로부터 파생된 상징과 기호는 주로 개별적 감정이나

정신적 경험에 기생하는 천착스러운 성질도 있다. 이들은 종종 실상과 허상의 모호한

경계를 포장하며 카멜레온처럼 연명한다. 시각적 속기법에 의존하여 무모할지라도

이들에게 말 걸기를 시도해보았다. 이 책에는 그러한 환영을 추구하는 시각적 언술화에

관련된 에세이와 진작 상징과 기호가 되어버린 무대 이미지들에 관한 글들로 채워져 있다.

 

차례

머리말6년이 걸린 답변

일러두기

 

1부 허상의 풍경

 

공간과 색채의 이중적 에너지

-토월명작연극 시리즈 <꼽추, 리차드 3><보이체크2004>

무대는 살아 끊임없이 변하는 유기체

-극단 자유의 <피의 결혼>

사실적 무대, 아름다운 재능의 증명

-오윤균의 <프루프>

소통의 불협화음이 빚어내는 연탄(連彈)

-이유정의 <바람의 키스>

현실과 허구의 혼존(混存)

-극단 신화의 (원제: 세여인)

다양한 군상을 빛과 그림자의 회전무대로 묘사하다

-이태섭의 <떼도적>

잘 짜여진 연극과 무대의 조화

-최승연의 <게팅아웃>

일상용품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

-데미안 보벳의 <작은 서커스, 작은 황소들>

하륵하고 하륵한, 그러나 하륵해야 할 하륵

-김경희의 <하륵이야기>

이방인의 시각으로 우리의 무대 이미지 이해하기

-<베를린 레베스레움 무대미술전>

절망의 끝에서도 새벽별을 보며 희망을 낚다

-극단 지구연극연구소의 <안녕, 모스크바>

테이프를 제작한 것은 자기만족 때문일까, 아닐까?

-한양 레퍼토리의 <테이프>

변화하는 삶의 방식과 무대어법을 입증하는 작품

-서재형의 <왕세자 실종사건>

단순과 생략으로 우려내는 일상의 모습들

-김용현의 <맨드라미꽃>

도치된 무대와 뒷모습에 초점을 맞춘 장면 만들기

-이경표의 <늙은 부부 이야기>

연극을 존재하게 만드는 동력은?

-극단 민들레의 <마당을 나온 암탉>

타협과 양보의 적정선, 그리고 디자이너의 고집

-김용현의 <그녀의 봄>, <슬픈연극>

무대미술가의 또 다른 이름: 무대마술사

-김태영의 <벽을 뚫는 남자>

발품진득한 수고로 디자인한 무대

-여신동의 <빨래>

연극무대와 현대미술이 만날 때

-코리아나 미술관의 <이미지 극장>

무대미술비평의 이유를 생각하게 만드는 이야기

-이윤수의 <백중사 이야기>

惡夢樂夢이어야 하는 이유

-극단 자명종의 <한여름 밤의 악몽>

소박한 연극을 기대하며 혹은 기다리며

-日本 신주꾸 양산박의 <에비대왕>

비어있음으로 찾아낸 우리 정서의 조형방식

-손호성의 <임차인>

어른들을 위한 잔혹동화, 정말 잔혹하다!

-몬테네그로 제트스키 돔의 <죽음의 광장>

절반의 성공과 실패로 범벅된 귀신놀이

-독일 인형극단 헬미의 <귀신놀이로의 초대>

멋과 맛이 어우러진 연극제를 위한 발상

-극단 민들레의 <놀보, 도깨비 만나다>

 

2부 실상 닮은 허상

 

극단 <쎄실> 레파토리 시스템 작품

-2003년 채윤일 연출 시리즈 1. <이상(李霜)의 날개>

어린이 문화예술학교 여섯 번째 작품

-<춘하추동 오늘이>

<11회 젊은 연극제>의 참가작품을 기억하다

극단 인혁의 <밤마다 페로에는>

선생님들이 잔치를 벌인 날

-극단 교극의 <시집가는 날>

극단 골목길의 <딜러스 초이스>

극단 목화의 <내 사랑 DMZ>

호모루덴스 컴퍼니의 <프랑켄슈타인>

극단 춘추의 <아마데우스>

극단 단막극장의 O.헨리 단막제 <사랑이 머문 자리>

극단 로얄씨어터 <물고기 여인>

극단 맥토의 뮤지컬 <동숭동 연가2>

극단 연우무대 <명월이 만공산하니>

극단 파티의 <밤비 내리는 영동교를 홀로 걷는 이 마음>

 

3부 실상의 풍경

 

인간의 보편성과 새로운 양식을 찾아서

-2회 서울 공연예술제의 <에비대왕>, <하녀들>, <라이트 모티브>를 보고

대학로에서 울려 퍼지는 제주도 사투리

-극단 목화의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를 보고

23회 전국연극제에 대한 단상(斷想)

참을 수 없는 경박함의 이유

-코미디의 경박함을 관객들이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선과 면의 접결로 맺어지는 셰익스피어

-목화의 셰익스피어 <맥베스>, <로미오와 줄리엣>을 보고

한국 무대미술의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한국무대미술의 정체성과 세계화의 방향

Characteristics of Korean Stage Design and the Direction of Globalization

A Beauty of Simplicity and Informality in Korean Scenography

무대와 콘셉트

-텍스트와 콘텍스트에 관한 무대의 시각적 언술화

 

4부 두 상()의 틀짜기

 

공간과 연극성

진짜 연극 vs. 가짜연극

-사실적 환영 창조와 무대 공간 운용(運用)의 관계

억척어멈에 대한 고정관념

-한국에서 여성으로 무대미술을 한다는 것

해체주의 무대미술로의 전이(轉移)

-텍스트에서 이미지로의 여행, 변환, 해체

갈등의 예술과 뒤집힌 변기

-연극과 미술의 관계

한국 무대미술에 나타나는 미적 표현에 대한 연구

무대예술: 다양한 시도와 새로운 어법 추구의 2006년 무대미술

2007년 무대미술의 키워드: 편중, 침잠, 안이

 

덧붙인 말실상과 허상 사이에서 세상을 보다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극과인간의 책 >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관객 불행한 비평가  (0) 2022.05.10
영상매체 시대의 연극  (0) 2022.05.10
소통을 소통하다  (0) 2022.05.10
빛의 유적  (0) 2022.05.10
언어와 이미지의 수사학  (0) 2022.05.10

댓글